정보고속도로 건설에서 기존 자원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강구는 필수적이다.
기존자원의효율적 수용 내지 활용여부는 결과적으로 정보고속도로 건설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산망의 재구축시 기존자원의 수용을 염두에 둔 망설계는 기본이다. 새로 구축될 정보고속도로에 반영돼야할 기존자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표적인예가 행정전산망등 5대 국가기간전산망이다. 또 각부처별로 추진하고 있는 검찰정보통신망、 과학기술전산망등도 빼놓을 수 없다.
행정전산망을 비롯 국방전산망、 공안전산망、 교육연구망、 금융망등 5대 국가기간전산망의 경우 이미 지난 87년부터 해당 정부부처별로 추진돼 현재완성단계에 있다. 그러나 정보고속도로 프로젝트인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사업 계획은 5대 기간망과 추진주체가 서로 다르다.
5대 기간망의 추진주체가 국무총리실 국가기간전산망조정위원회인 반면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 사업은 정보통신부 산하 초고속정보통신망구축기획단 이다. 물론 초고속정보통신망구축기획단이 발표한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 종합추진계획 안 95년3월판 에는 대체적으로 초고속정보통신망이 이들 공공전산 망을 단계적으로 수용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돼 있다.
주요내용을 보면 대국민 관련 망부터 단계적으로 수용한다는 방침아래 사용형태를 분석한 후 단계적으로 수용대상、 방법、 절차 등 수용계획안을 수립하겠다는 게 기본입장이다.
또 초고속정보통신망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접속규격은 국가표준을 준수하고 정보의 공동활용등 이용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조한다는 수용 기본원칙도 마련돼 있다.
그러나 초고속정보통신기반망 구축사업이 아직 안에 불과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5대국가기간망등 공공전산망을 어떻게 수용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은 발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히도 최근 18개정부부처가 독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27개 공공전산망에대해 초고속정보통신망의 수용을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이 범국가적 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 공공전산망 자원을 단계적이 아닌、 처음부터 수용 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존자원을 처음부터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사업이 추진될 경우 정부예산의 낭비는 물론 최종사용자가 될 국민 들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첩경이 될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대 기 간망외에 현재 주요 부처가 독자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수용대상 전산망은 <표>와 같다. <서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