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초까지 전국 50개지역 종합유선방송국(SO)들이 과연 30만가구를 대상으로 케이블TV를 시청토록 할 수 있느냐는 문제는 현재 전적으로 전송망사업자 (NO)의 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달 29일 공보처에서 열린 "전송망설치 점검회의"에서 전송망사업자인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은 오는4월말까지 각각 55만단자、 91만단자를 개통시키겠다고 밝혔다.
한국통신은 서울의 강남SO를 비롯해 21개 SO와、 한국전력은 서초SO를 포함 해 전국 32개 지역SO와 각각 전송망설치 계약을 맺고 있는데 설계단자수는한통이 70만9천、 한전이 1백10만단자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같은 전송망공사 계획대로라면 서울 은평SO를 제외한 전국의 53개S O에서 최대 1백80만가구가 케이블TV를 시청할 수 있는 셈이다.
그러나 한통은 이들 21개 SO와 전송망공사뿐 아니라 SO가 설치해야 할 구내 전송선로까지 포함된 공사계약을 맺고 있는 반면에 한전은 32개 SO와 전송망 공사 계약만 체결하고 있다.
때문에 이날 열린 점검회의에서도 한통은 이달말까지 전송망단자수 55만단 자, 구내선로 29만가구、 연결단자수 20만가구를 각각 개통시키겠다고 약속 했다. 반면 한전은 4월말까지 한 SO당 2만9천단자、 전국적으로 91만단자의 전송선로를 개통시키겠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한전의 경우 이달말까지 정확 하게 몇십만가구분의 댁내전송선로가 연결될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한통과 한전 모두 5월1일까지는 최소 30만가구에 전송망 구축이 완료 돼 케이블TV를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장담하고 있다.
하지만 공보처를 비롯、 SO나 케이블TV 관계자들은 이같은 전송망사업자들의 장담을 거의 믿지 않고 있는 눈치다. 오히려 믿어주고는 싶지만 지금까지 여 러차례 그래왔듯이 이번에도 과연 이 약속이 지켜질지 한번 두고보겠다는 식이다. SO.NO.프로그램공급업 PP 등 케이블TV 3개 사업분야중 지난해부터 현재까지공보처와 종합유선방송위원회.협회 등 관련부처와 단체를 가장 당혹시키고 있는 것이 바로 전송망사업이다.
그동안 공보처를 비롯、 위원회.협회 등 유관기관은 기회있을 때마다 케이블TV 사업을 3개분야 사업자로 나누어 실시한 것은 세계 어디에도 유례가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제도이자 "황금분할""이라고까지 극찬해왔다. 공보 처는 특히 전송망사업자 선정시부터 "양대 정부투자기관을 복수로 지정한 것은 선의의 경쟁을 유발시켜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현재까지의 전송망사업 추진결과를 놓고 볼 때 케이블TV 사업의 조기정착은 커녕 오히려 케이블사업 성패까지 뒤흔들어 놓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고 이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심지어 일부 SO관계자들은 지난 3월1일 개국때부터 "망 때문에 케이블TV 사업이 망하게 생겼다"면서 "전송망사업 지연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고 강한 불만을 털어놓기도 했다. 만약 전송망공사 미비로 이달중에 30 여만 가구가 케이블TV를 시청할 수 없게 될 경우 이같은 주장이 또다시 대두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협회가 밝힌 통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가입신청자가 40여만 명에 이르고 있으나 가입자들에게 모두 전송망이 개통되려면 적어도 올 하반 기가 돼야할 것으로 일부에서는 전망하기도 한다.
이에따라대부분의 SO에서는 전송망설치 지연으로 인한 가입신청자들의 문의와 항의전화가 빗발치고 있고 일부 SO에서는 하루 10여건씩 가입해약전화가 걸려오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중인 케이블TV가 조기에 정착되고 성공하기 위해선 최우선적으로 케이블TV 전송망이 전국에 신경망처럼 제대로 깔려야 하고 그런 연후에야 국가가 추진하고 있는 정보초고속도로의 기간망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정을 감안한다면 한통과 한전등 정부투자기관뿐 아니라 정보통신부와 통상산업부등 정부관련부처가 좀더 철저하게 지휘감독을 해야 한다는 것이케이블TV 관련업계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조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