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29일 긴급히 발표한 지하매설물 전산화 대책이 현실성이 없는등 신뢰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2일 GIS 관련업계에 따르면 통상산업부와 건설교통부가 내놓은 GIS분야 관련대책은 *이미 시행중인 것이거나 *시기상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이며 양부처가 내놓은 대책 모두가 기존의 범국가GIS 기획의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있다.
업계와 GIS전문가들은 우선 통상산업부가 발표한 "가스안전관리기금에서 GIS 구축 가스공급업체에 기금을 사용토록 하겠다"는 계획발표는 "이미 지난해입안해 저이로 자금을 융자토록 시행되고 있는 사항이어서 별로 새로울게 없다 고 지적했다.
또 오는 99년까지 5백20억원을 들여 전국의 지하매설물을 전산화하겠다는 건설교통부의 발표도 "오는 97년완료목표로 이달 12~17일에 1차입찰이 완료된 전국지도의 전산화(수치지도화)의 추이를 보아가면서 점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사안"이므로 함부로 발표할 성격이 아니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와함께 건교부가 전국을 어떤 방법으로 GIS화 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를 하지않아 발표에 대한 신빙성을 갖기가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업계전문가들은 "99년까지 단순히 5백20억원만 투입해 구체적인 변수 를 고려치 않고 전국을 GIS화한다는 발표는 수긍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있다. <이재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