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진흥회 분석, 폐가전 재활용 저조

폐가전품의 발생량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나 가전업체 등 재활용 관련업계 와 지방자치단체간 협조체제가 미흡해 재활용처리 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폐가전품 재활용 전문업체들은 적정 처리물량을 확보하지 못해 채산성 이 악화되고 있는 반면 지방자치단체는 재정과 인력 부족 등으로 폐가전품을 재활용하지 못한채 대부분 매립 처리、 재활용산업 활성화에 역행하고 있다.

23일전자공업진흥회에 따르면 가전업계의 위탁 재활용 전문업체들은 지난해 폐가전품의 회수처리(재활용)를 위해 약 1백억원을 투자했으나 폐가전품 회 수량이 가전대리점 유입물량에 한정되는 등 적정 처리물량을 확보하지 못해심각한 경영난에 빠져있다.

뿐만 아니라 폐냉장고 단열재등 최종 잔재물의 공공매립장 반입이 불가능한 데다 민간업체들이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선별창고 등 재활용 시설 과 중간 집하장을 사용하지 못해 재활용률을 높이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반면 지방자치단체들은 전체 폐가전품 발생량의 약 75%가 유입되고 있으나중간처리시설 및 인력부족으로 이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일괄 매립하고 있는실정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가전업계가 재활용전문업체등을 통해 회수처리키로한 폐가전품은 세탁기.냉장고.TV.에어컨등 4대 품목을 기준 으로 69만8천대에 이르고 있으나 실제 회수처리된 폐가전품은 21.5%인 15만 대에 불과했다.

전자공업진흥회는 이에따라 폐가전품 회수와 처리장소 및 처리비 일부는 자치단체가 부담하고 민간재활용 전문업체가 파쇄、 재활용 처리하는 방식의 민관공동출자법인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또 최근 관계당국및 서울 부산 인천등 3개시와 경기도에 지방자치단체의유입물량을 재활용 전문업체에 위탁처리 *공공매립장내 재활용업체 폐가전 품의 최종 잔재물 반입 허용 *민간업체의 공공 재활용시설 사용허용 *개발 제한 구역내 집하장및 처리장의 설치 허용 *지자체가 조성하는 재활용 단지 내 재활용 전문업체의 입주 허용 *폐기물 관련 각종 인허가 협조및 허가조건 완화등을 주내용으로한 건의서를 보냈다. <이윤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