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전환기의 한국통신 (1);당명과제

국가의 중추신경인 통신망을 관리해온 한국통신(KT)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단시간내에 2천만 회선이라는 막대한 통신망을 구축, 우리나라를 세계 8위의 통신국가로 부상시킨 한국통신이 이제 밖으로는 통신시장 개방이라는 파고에 시달리고 안으로는 노사갈등과 경영합리화란 군살빼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또 위로는 정부의 민영화 추진과 통신사업 구조조정에 눈치보기 바쁘고, 아래로는 데이콤을 비롯한 경쟁회사들의 시장침투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따라서 이대로 가면 2000년대 한국통신의 위상격하는 물론매출 역시 크게 감소할 것이라는 위기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국내 최대통신 사업자이자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 주인공인 한국통신의 현황과 위상을 재조명하고 당면문제와 해결방안을 몇 차례에 걸쳐 조망해 본다. <편집자주> 1982년 12월 10일 당시 체신부로부터 분리된 한국전기통신공사. 현재 종업원 6만3천명、 지난해 매출액 5조5천3백97억원(전년 5조1천8백억원)、 통신회선 수는 세계 8위이지만 매출은 23위이다.

또 1인당 평균 노동생산성은 8천8백만원으로 미국 AT&T의 62%、 일본 NTT 에 비해서는 52% 수준에 머물고 있다. 조직 및 인력관리 측면에서 볼 때 NTT는 연 4%를、 AT&T는 3%를 감원한데 비해 한국통신은 3%가 증가했고 기술개발투자는 매출액 대비 6.2%(3천4백2억원)로 이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다.

유선전화는 적체없이 보급했으나 무선통신기술 및 데이터베이스는 경쟁상대 국에 비해 열세이고、 기술수준은 미국을 1백으로 잡았을 때 일본 50、 한국 통신은 15라는 게 지난해 작성된 "한국통신 경영진단보고서"에서 나온 성적 표이다. 물론 매출은 지난 89년 이후 매년 10% 내외의 성장세를 유지했고 순익(94년 6천2백70억원、 93년 4천7백억원)도 많이 올려 산간벽지나 해저통신.무궁화 위성 등과 같은 복지통신과 미래를 위한 통신기반 구축에 상당부분 재투자했으며 정보화촉진을 위해 정보통신진흥기금의 상당재원을 제공、 공기업으로서의 역할을 톡톡이 한 것은 칭찬을 받아 마땅하다.

또 통신분야 전반에 걸친 다양한 서비스개발 등 신규사업의 증가에 비해 인력이 그만큼 따라가지못해 업무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2년 앞으로 다가온 통신시장개방과 국제전화에 이은 시외전화의 경쟁 도입 등 무한경쟁시대를 맞아 민간기업에 비해 경영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데이콤이 지난해 1인당 1억7천3백만원 의 매출을 올린 것과 비교하면 한국통신은 느슨해진 조직관리와 팽배해진 관료주의로 인해 앉아서 영업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물론 이익 위주의 서비스를 하는 민간기업과 복지통신을 목표로 산간벽지에 도 전화시설을 놓아야 하는 한국통신을 단순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조직의 경직성과 비효율、 우둔한 시장적응 등은 외부에 비치는 한국통신의 모습이다. 따라서 한국통신의 대주주인 정보통신부는 통신시장 개방에 앞서 "통신 사업 구조조정"이란 명목하에 그동안 누려온 "독점"의 혜택을 "자율경쟁"이 란 채찍으로 바꿔 한국통신에 압박을 가하는가 하면 그동안 비대해진 조직의 정비와 감원을 요구하고 있다.

또 한국통신에게만 허용했던 통신사업을 이제 데이콤을 시작으로내년에는 정 보화촉진기본법을 앞세워 한전.도로공사.철도청 등은 물론 민간기업으로까지 확대 허용하려는 방침이다.

그러면 21세기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할 주인공인 한국통신이 이렇게 된 배경 은 무엇인가. 공기업으로서의 관료주의도 비난받아야겠지만 이보다는 인사.

회계.구매에까지 대다수가 정부의 허가사항이어서 자율경영을 할 수 없다는게 한국통신 관계자의 설명이다. 즉 통신사업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확실하지 않아 업무의욕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통신 내부에서는 정부로 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과 이로 인한 대기업으로의 인수우려 등 민영화를놓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구원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