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국내 DCS(분산제어장치)의 수요정체가 지속되고 있으나 석유화학.환 경부분의 시장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관련업계가 집계한 올해 DCS의 분야별 시장점유율(수주액기준)은 석유.
화학분야의 경우 지난해 32.8%에서 올해 4월 말 현재 35.2%로 높아졌으며수처리.가스.환경 분야 역시 지난해 말 23.8%에서 26.3%로 꾸준한 증가세 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 92~93년의 대규모 석유화학설비의 투자이후 올들어 신규 투자를 시도、민간부문의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대형가스사고 등에 따른 상하수도 수처리.소각로.가스 등 환경안전부문의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으로풀이되고 있다.
반면 발전.보일러등 그동안 수요를 주도해 온 공공부문의 경우 올 하반기들 어서야 정부발주가 가능、 4월말 현재 지난해에 비해 1.5% 낮은 18.9%의 점유율을 기록해 감소세를 보였으며 철강부문의 경우는 10.6%로 미미한 시장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밖에 일반 공장플랜트 등 기타부문의 경우 지난해 12.8%에서 10.0%로 시장점유율 하락현상을 보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반적인 DCS의 수요 정체 현상속에서도 주력인 석유.
화학분야와 환경분야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고 있다"며 "국 내업체들의 독자시스템 개발이 본격화되는 올 연말이후 전반적인 시장회복세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정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