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종업원 50인 이하의 소기업들의 ISO 인증획득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법인을 설립키로 하는 등 소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크게 강화해 나간다는방침이다. 24일 통상산업부는 전세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ISO 9000 인증제도가 소기업 으로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중소기업진흥공단 내에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전담 센터를 설치、 오는 2000년까지 2천여개의 소기업에 대한 인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통산부는 이를 위해 소기업에 대해서는 인증심사비용을 대폭 감면하고 중진 공 기술지도 기능을 크게 확충、 인증획득 준비에 필요한 교육 및 훈련、 품 질보증시스템 구축 진단지도를 병행하기로 했다.
또 2000년까지 소요되는 약 2백17억원의 재원에 대해서는 일부는 정부출연금 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재원은 기존의 진단 지도사업 구조개선금을 활용키로 했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현재 국내 ISO 9000인증 신청 수요에 비해 인증기관의 심사기관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종업원 50인 이하의 소기업의 경우 1천만~5 천만원에 이르는 고액의 인증 심사비용과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준비기간의 소요가 소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통산부는 이에 따라 오는 7월초 소기업에 대한 ISO 9000 진단.지도를 실시하고 9월에는 인증센터를 정식 설립、 매년 4백~5백개 기업에 대한 인증을 실시할 방침이다.
통산부는 이번의 소기업 ISO 9000 인증확대 추진에 따라 오는 2000년까지 수출기여 효과는 약 28억달러、 중소기업 수익 증대효과는 약 1천6백48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현재 인증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 생산기술연구원의품질평가센터를 소기업 위주의 ISO 9000 인증기관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적극검토중이다. <모 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