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장기저리로 사용할 수 있는 외화표시 국산기계구입자금을 공작기계 가운데 NC(수치제어)제품에 한정、 지원할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중소범용공작기계업체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2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통상산업부는 자본재산업 육성시책의 일환으로 올해추가로 8천8백억원을 조성해 지원하는 외화표시 국산기계구입자금수혜대상품 목을 공작기계중 NC제품에 한정、 오는 7월부터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범용공작기계를 주로 생산하고 있는 중소기계업체들은 국산 범용공 작기계제품의 수요가 위축되고 외국산 범용공작기계의 수입이 크게 증가해큰 타격을 받을 것을 우려、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부 대기업을 비롯해 범용공작기계를 생산하고 있는 기계업체들은 지난 23 일 한국공작기계공업협회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외화표시 국산기계 구입자금 의 수혜대상품목에 범용공작기계도 포함해 주도록 통상산업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기계업체관계자들은 "이번 정부방침이 확정되면 외국산 범용제품은 수입 할 경우 장기저리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어 국산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유리해 수입이 큰 폭으로 늘어 날 것"이라며 "정부가 자본재산업육성에 대한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해 공작기계수입액은 범용이 4억5천9백64만3천달러로 2억4 천6백만달러인 NC제품보다 2배 정도 많아 국내에서는 범용기계의 수요가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범용기계도 자본재산업의 하나이므로 당연히 수 헤대상품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한 "NC제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범용제품 의 비중(금액)이 40%를 넘고 있어 정부가 인위적으로 NC제품중심으로 시장 구조를 끌어가려고 하는 것은 무리"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통상산업부는 "이번 외화표시국산기계구입자금지원대상품목은 수입대체효과가 크고 첨단제품이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며 중소기업들의 경우 중소기업육성자금이 따로 마련되어 있는 만큼 이를 이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까지 국산기계개발차원에서 범용제품이라도 개발된지 2년 이내의 제품에 대해서는 외화표시국산기계구입자금을 지원했다.
<조용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