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CPU 관세면제 난망

컴퓨터 CPU(중앙처리장치)에 대한 무관세 추진이 재정경제원의 난색표명으로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국내컴퓨터업체들의 경쟁력저하가 크게 우려된다.

9일 통상산업부와 전자공업진흥회에 따르면 최근 국내컴퓨터업체들의 가격경 쟁력을 높이고 금융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현행 18.8%(기본관세 8%)인 컴퓨터CPU에 대한 실행관세를 무관세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해 왔으나 이에 대해 재정경제원측에서 세수경감을 이유로 난색을 표명함에 따라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공업진흥회의 한 관계자는 "오는 9월부터 미국 최대의 컴퓨터업체인 컴 택사가 파격적인 가격으로 컴퓨터를 공급할 계획이고 미 델사와 대만의 에이서 등이 국내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컴퓨터제조원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CPU의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것은 국내컴퓨터업체들 의 경쟁력을 사실상 정부가 앗아가는 꼴"이라며 컴퓨터 CPU에 대한 무관세화 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관계자는 특히 컴퓨터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대만처럼 CPU에 대한 무 관세적용이 필수적이라며 최근 컴퓨터업체들의 가격경쟁력상실이 업체들의 과잉경쟁에서 비롯됐다는 시각을 강력 부인했다.

전자공업진흥회는 지난해 컴퓨터CPU수입에 따른 업계의 총세금부담이 약 6백 억원이었던데 비해 올해는 이보다 25% 증가한 7백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편 재정경제원은 최근 컴퓨터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입관세를 내년부터 무관 세로 전환키로 하는 대신 CPU에 대한 관세는 현행대로 유지키로 하는 내용의내부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모 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