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정보처리산업 동향과 분석 (1);내수시장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최근 국내 소프트웨어업계를 대상으로 조사한 95 국내 정보처리산업 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고속성장을 거듭해 오던 국내 정보처리산업이 올해부터 둔화되기 시작, 9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예측됐다. 국내정보처리산업을 주도해오던 수주개발(SI)부문의 수요가 지속 적으로 감소한다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SI와 달리 패키지 SW는 지금까지 연평균 43%씩 성장해왔고 앞으로도 비슷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이번에 2백4개 기업을 대상으로 내수시장분석, 부문별시장분석, 부문별시장규모예측 수출동향, 기업분석등 5개부문으로 나눠 실시한 조사분석내용을 앞으로 5회에 걸쳐 집중 소개한다. 협회의 조사기간은 95년 9월15일부터 6개월간 이며 조사대상 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구분한 소프트웨어패키지 40 개사, 정보서비스 1백42개사, 하드웨어 22개사 등이다. 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가 이번조사를 위해 한국산업표준분류를 참조하여 사업부문별로 정리 한 것이다. <편집자주> 정보처리산업 내수시장분석 올해 국내 정보처리산업 총매출은 2조5천5백42억원으로 전년대비 38.2%가 성장할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같은 기간동안 하드웨어부문 총매출은 18.7% 증가한 4조4천2백5억원(전자공업진흥회조사) 으로 전체 정보산업시장에서 정보처리산업 SW 과 하드웨어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36.6%대 63.4%로 나타났다. 정보처리산업 내수시장은 소프트웨어개발전문업체와 하드웨어업체 및 소프트웨어 유통업체의 정보처리분야 매출을 합한 것으로 소프트웨어패키지부문과정보서비스부문으로 시장을 구분(그림1 참조), 분석했다.

소프트웨어패키지부문의 95년 매출(추정)은 6천2백32억원으로 정보처리산업분야 전체시장의 24.4%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정보서비스부문은93년 이후 연평균 30%이상 매출 증가세를 보여 올해 1조9천3백9억원으로 전체시장의 75.6%를 점유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처리산업 업종별 매출현황에서는 제조업이 전체 시장에서 42%를 차지 여전히 압도적인 수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올해 예상 매출은 1조7백20억원 으로 지난해보다 33.5%나 성장했다. 매출규모 비율로 본 업종별 순위는제조업에 이어 금융.보험(17.6%), 정부.공공(15.6%), 서비스.개인(10.8%), 유통.운송 9.8 기타(4.2%)순이었다. <서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