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업계가 정부가 내년부터 실시를 검토하고 있는 "가전제품 가격표시제 폐지"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18일 삼성전자.LG전자.대우전자등 가전업체들은 재경원이 현재 가전제품을 포함한 일반공산품에 적용하고 있는 가격표시제의 전면폐지를 전제로 소비자 보호원을 통해 공청회를 개최하는등 구체적인 움직임을 보이자 업계공동의 건의서를 준비하는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가전업계는 소보원이 공청회에서 제시한 가전관련자료들이 가전업계 의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하고 전자공업진흥회를 통해 소 보원자료의 부당성과 함께 가전제품의 가격표시의 필요성을 정부기관에 제시 키로 했다.
재경원은 현행 권장소비자가격표시제를 적용함에 있어서 일부제조업체들이 권장소비자가격을 높게 표시한뒤 판매할 때 할인해주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을 유인하거나 제조업체가 판매업자에게 동일한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강요하는 교묘한 담합으로 가격경쟁을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 소보원과 실태파악후 내년부터 권장소비자가격표시제의 전면폐지를 검토중이다.
이에 대해 가전업계는 "유통점들의 제품구입시 가격이 물량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그 폭이 1%내외로 가격차별화 정책이라기 보다 대량구매자에게 부여하는 장려금수준이며 소비자들의 공장도가격이하 구매는 단종 예정모델 이나 단종모델에대한 재고부담을 줄이기 위해 유통점에서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표시가격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일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업체는 또한 "권장소비자가격도 출하가보다 20%가 넘지않게 책정돼 있어 공정거래지침에 위배되지 않으며 현재 일선유통점들의 경우 이 마진폭 내에서 가격조정을 통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가전업체들의 꾸준한 원가 절감노력에 힘입어 가전제품의 가격이 크게 떨어졌으며 유통단계별 가격차도 타제품과 달리 최대20%를 넘지않는등 자율적으로 적정가격유지정책을 실시하면서 소비자권장가격표시가 여러모로 가격질서를 잡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가전제품의 가격표시제가 폐지될 경우 제품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조장할 뿐아니라 채산성악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유통점들의 입지를 약화시켜 유통시장개방이후 국내가전업계의 유통력을 크게 떨어뜨릴것이라는 지적이다.
한편 전자공업진흥회는 업계의 이같은 의견을 반영、 현재 가전3사등 주요가전업체들의 가격표시제폐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관계부처에 제출할 계획 이다. <박주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