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전자, 미국 반도체공장 착공

유진(미오리건주)=김경묵기자

반도체 해외생산시대가 열린다.

현대전자(대표 정몽헌)는 27일 미주시장 대응력 제고를 위해 국내기업 해외투자사상 최대액수인 13억 달러를 투입, 미오리건주 유진시에 세계 최대규모의 메모리 반도체공장을 착공했다. 국내업체가 해외에 반도체 일관가공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는 이번 미주공장 건설로 향후 전세계 반도체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해외 생산거점 마련의 기틀을 확보하게 돼 세계적인반도체 업체로서의 위치를 대내외에 널리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있다.

현대전자 미현지법인인 HEA의 자회사로 "HSA(HYUNDAI SEMICONDUCTOR AMERICA)"로 명명된 이 공장은 약 7백명의 현지인력을 고용, 내년 말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가 8인치 웨이퍼 월 3만장 규모로 64MD램을 주력 생산하게 된다.

이 공장은 부지가 25만평 규모로 시장상황에 따라 증설이 가능한데 현대는일단 99년에 8인치 또는 12인치 웨이퍼 라인 가운데 하나를 선정해 64MD램전용공장 1개 라인을 추가로 증설, 이 공장에서 99년 16억 달러, 2000년에는2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정몽헌 현대전자회장은 오리건 현지공장 착공과 관련해 "세계 최대의 시장인미주시장 환경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 적시에 시장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공장부지를 오리건주에 마련한 것은 오리건이 특히 반도체 기술확보와 고급인력 유치가 용이하고 지방세 등 상대적으로 공장가동이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전자는 이와 함께 자사의 생산기술과 현지의 연구개발기술을 접목시켜64MD램, 2백56MD램 등 차세대 주력제품시장의 선점효과를 극대화한다는방침 아래 이번 미주공장 외에도 유럽 등 각지에 반도체공장을 설립해 나갈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