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정보화사업 선결 과제

교육부가 마침내 범국가차원의 교육정보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주요 내용은 전국의 학생·교원·학부모 등 교육분야 수요자들이 교육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교육정보 종합서비스시스템인 「에듀네트(EDUNET)」를 오는 8월까지 구축하고 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교육용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SW)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정보의 개발과 데이터베이스(DB)화를 담당할 「국가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를 내년까지 설립한다는것이다. 또 각급 학교에서 인터네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일선 교사 3만6천여명을 대상으로 인터네트 활용교육을 실시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교육부는 이러한 교육정보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는 98년까지 총 1조4천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의 이같은 교육정보화사업계획은 현재 다른 분야에 비해 낙후성을면치 못하고 있는 교육분야의 정보화를 이른 시일내 본궤도에 올려놓겠다는의욕적인 청사진으로 늦은 감은 있지만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金泳三대통령이 정보화에 정책의 우선 순위를 두겠다고 천명한지 10여일 만에 나온 것이어서 시행의지나 효과가 기대된다.

비록 이번에 마련된 교육정보화사업이 구체성은 없지만 향후 교육정보화의방향을 제시하는 기본적인 골격을 담아 나침반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의미를 결코 과소 평가할 수는 없다. 교육정보전문서비스 전산망인 에듀네트를 인터네트와의 접속은 물론 초고속 정보통신서비스와 연계한 원격교육이가능토록 구축하기로 한만큼 이를 통한 국가 규모의 교육전산망 구축, 교육관련 응용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개발환경의 조성, 교육행정의 선진화 등을꾀할 수 있고 원격교육·평생교육 등 선진 교육서비스 도입도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육정보화의 골격이 마련됐다고해서 교육분야의 정보화가 곧바로활성화한다고 볼 수 없다. 여기에는 몇가지 선행조건이 따른다.

우선 가장 시급한 일이 일선 학교의 컴퓨터교육 환경을 재정비해야 하는것이다. 정보사회에 대비하고 첨단미디어교육을 위해 89년부터 초·중·고교에 보급되기 시작한 컴퓨터는 현재 보급률 90%를 넘어서고 있으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보급된 컴퓨터의 71%가 단종되어 부속조차구하기 어려운 XT기종이고 흑백모니터에다 하드디스크도 없는 것이다. 현재컴퓨터시장의 큰 흐름인 멀티미디어화 추세에 발맞춘 교육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게다가 각급 학교의 컴퓨터실습실은 대부분 1개 교실뿐이어서교육부가 이번에 수립한 인터네트 실습은 어려울 뿐 아니라 교과과목에 포함되어 있는 기존 컴퓨터 기본교육조차 수행하기에도 벅찬 실정이다. 또 컴퓨터교육 담당교사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당초 학교 컴퓨터보급의 2가지취지였던 「컴퓨터교육」과 「컴퓨터를 통한 교육」은 전혀 살리지 못하고있는 형편이다.

또 하나는 에듀네트를 통해 전국에 서비스할 다양한 SW 및 DB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이다. 교육부의 계획대로라면 에듀네트 구축 및 서비스가 4개월 남짓한 기간밖에 남지 않았다. 물론 망 구축이나 서비스 운용은 기존상용 PC통신사업자의 도움을 받으면 이 기간동안 가능하지만 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SW 및 DB의 개발은 그리 쉽지 않다. 특히 각종 서비스항목을 개발할 국가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가 아직 설립도 되지 않는 상황을 감안하면시간적으로 촉박하다. 올해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지원센터 역할을 대행한다지만 개발원내에 교육용 SW를 개발할 인력이 충분한가도 의심가는 대목이다.

따라서 교육부는 이번 교육정보화사업 추진에 있어 일선 학교가 실질적인컴퓨터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학교컴퓨터를 신기종으로 개체하는 환경개선과다양한 교육용 멀티미디어SW 및 DB개발에 투자의 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컴퓨터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들이 이루어지지 않고는 교육정보화를목적대로 달성키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각계의 정보화 바람에 편승해 전시효과적인 계획을 내놓기보다 내실있는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옰기는데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