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지상강의] PPP서비스

윈도우 95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윈도 3.1을 사용하고 있는사람들이 많다.

윈도우 3.1 사용자들이 포인트 투 프로토콜(PPP)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필요하다. 지금 설명하는 준비물 및 사용 방법은 인터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즉 PPP라는 이름으로 인터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는 어디에서나 같은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천리안 매직콜이던, 나우누리이던 간에 똑같이 이야기라는 통신 프로그램으로 접속하는 것과 비슷하다.

PPP접속을 위해서는 지난회에 설명했듯이 Trumpet Winsock이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 소프트웨어는 htwsk21f.zip이라는 이름으로 통신을통해 배포되고 있다. 먼저 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은뒤에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TRUMPET이라는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고 이 안에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htwsk21f.zip 안에는 winsock.dll이라는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파일은 PPP접속용 프로그램 마다 포함되어 있지만 호환되지않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데이콤에서 배포하는 Dacom Winsock이나 혹은 트로이 윈삭을 사용하던 사람들의 경우 winsock.dll파일이 바뀌게 되면 원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각각의 winsock.dll파일을 각 소프트웨어별로 다른디렉토리에 두어야만 한다.

일단 트럼펫의 설치가 끝나면 윈도를 실행하고 나서 압축을 풀어서 생겨난tcpman.exe파일을 실행한다. 이 파일을 실행하면 윈도에 트럼펫 화면이 나오게 된다. 간혹 가다 Unable to load TCP/IP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경우가 있는데 이 메시지는 무시해도 된다. 이 메시지는 트럼펫이 LAN카드를 통하여 인터네트에 연결되도록 세팅이 맞춰져 있기 때문으로 전화선 환경으로 바꾸어 주기만 하면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일단 트럼펫이 실행되면 File메뉴에서 Setup 항목을 선택해 주면 화면에작은 창이 하나 새로이 열리며 여러 가지 설정값을 기록해 줄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환경 설정 창에서 가장 먼저 지정해주야 하는 것이 화면 왼쪽아래에 있는 Internal PPP라는 항목이다.

이 항목을 마우스로 눌러주면 옆에있는 조그만 상자에 X표시가 붙는다.

이 항목에 체크를 해 주는 이유는 트럼펫이 원래 PPP전용 소프트웨어가아니라 근거리통신망(LAN)으로 연결하는 경우, 전화선을 통하여 PPP서비스에 연결하는 경우, 그리고 전화선을 통하여 SLIP으로 연결하는 경우의 세가지 방법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이다. SLIP이란 PPP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PPP보다 앞서 개발되었던서비스로 요사이는 많이 쓰이지 않는다. 트럼펫에서 Internal PPP항목을체크해 줌으로써 PPP환경임을 트럼펫에게 알려주고 나면 위에서 부터 빈칸들을 채워주어야 한다.

다음 회에는 이 값들의 의미를 알아보도록 한다.

<류지창 인터네트 무작정따라하기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