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의 진전:세계적차원의 ICT의 기초가 되는 기술로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컴퓨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및 통신을 꼽을 수 있으며 90년대의 기술추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즉 전자부품은 소형화,저가화,신뢰성향상,사용 용이성의 향상등과 같은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며 ICT 제품 및 시스템의 기업및 가정에 대한 보급이 확산되고 인간과 기계의 교신이 더욱 완벽해지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고정에서 이동으로, 음성/텍스트에서 멀티미디어로의 진전이 계속된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일렉트로닉 부품: 마이크로일렉트로닉 부품에서는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의 양대진영인 CISC(복합명령어컴퓨팅)와 RISC(명령어축약형컴퓨팅)의 차이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서로 상대방의 컨셉트를 모방하기 때문이다.
메인 메모리 설계분야에서는 많은 시스템 보드제조업체들이 EDO(ExtendedData Out)램 메모리에 대한 지원부품을 도입하고 있다.
비디오 메모리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V(Video)램을 사용하며 이는 두개의포트를 갖고 있어 동시에 두개의 기능을 수행한다.하나는 영상의 보존 및 변환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비디오 정보수집기능이다.
불휘발성메모리는 전자제품이 소형화됨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적은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앞으로 휴대용 전자 제품에 많이 필요할 것이다.
신호 처리기의 경우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PC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로 오디오, 비디오및 전화 신호의 프로세스등을 처리하는 반면 인텔의 NSP(Native Signal Processing)은 CPU를 사용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처리한다.이와 함께 현재는 CISC, RISC 및 DSP를 혼합한 차세대 칩이 개발되고있어 PC의 새로운 지평을 예고하고 있다.
<자료처리시스템> :자료처리시스템에 있어 현재 선호되는 모델은 하이브리드 34계층 아키텍쳐로서, 이는 중앙에 있는 메인 프레임과 DB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있는 중간 계층, 그리고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클라이언트 환경으로서 NOS(네트워크 운용체계)와 연결되어 EUC(End-User Computing)툴및 애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데스크톱 PC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메인프레임 제조업체들은 하드웨어 비용과 소프트웨어의 개방 수준과관련해 메인프레임의 역할을 재정의하고 있다.
또한 IBM을 비롯한 세계 주요업체들은 CMOS(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칩을사용한 메인프레임을 미래형으로 간주하고 있다. CMOS 성능은 12~18개월마다두배씩 늘어나고 있어 가격, 성능, 신뢰도, 환경 요소(시스템의 크기는 절반으로 줄고 전기는 90%이상 절약된다.)등을 감안할 때 CMOS 시스템이 분명히바이폴러 시스템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중형 시스템분야는 비교적 안정된 편이다. 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유닉스시 스템과 IBM AS/400은 출력, 용량, 기능, 그리고 워크스테이션의 하위기종(LAN 서버 및 PC)등에서 큰 차이가 없다.오히려 하드웨어 아키텍쳐보다는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차별화하는 추세이므로 유닉스도 PC로 사용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NT도 알파서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C의 경우 하드웨어 아키텍쳐는 다른 부품기술의 진전에 따라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이중 올해에는 PnP(Plug and Play)기술이 광범위하게 채용될것으로 전망된다. PnP는 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운용체계(OS)및 장치등을 스스로 배치할 수있게 하는 사양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는 올해 일부 상업용 시스템에서 채용될 것으로예상되는 외부 I/O 인터페이스이며, 최대 대역폭은 12Mbps로 마우스, 키보드, 비디오 모니터, 프린터등 모든 종류의 장비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
SCSI(소형컴퓨터시스템 인터페이스)의 경우 지난 86년 이래 다양한 주변기기(하드디스크, 광디스크, CD롬, 스캐너, 프린터등)와 연결이 가능하다는장점 때문에 높은 인기를 끌었다. SCSI는 그동안 노출되었던 문제점이 많이개선됐기 때문에 앞으로 몇년동안 계속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새로운 정보 저장 시스템의 개발은 정보 시스템의 발전에 핵심이된다. 다시 말하면 새로운 저장 장치와 기술이 계속 개발되어야 하고 저장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저장 시스템과 관련한 발전으로는 자기 및 광학기술의 사용, 크기의 축소, 용량의 증대및 원가 절감등을들 수 있다.
대량 저장에 대해 자기가 갖는 의미는 반복 재생이 가능하고 저렴한 고품질 매체라는 것이다.
광학 저장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정보 속도이다. 2000년의 전송속도는초당 1G비트가 돼야하는데 이는 광학 기술이 아니면 해결할 수 없다.
저장 관리의 초점은 기술과 장비뿐아니라 여러 매체로 구성된 세트로 입출력을 신속히 하는 한편 유용성, 신뢰성, 유연성을 높이고 저장 정보당 경비를 절감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나온것이 RAID(저가디스크배열). 이 RAID에는 0에서 5까지 6단계의 단계가 있다.
0단계: 정보를 블록으로 구분해 모든 디스크로 보낸다.
1단계: 선택된 디스크의 동일한 복사를 제공한다.
2단계: 한개 이상의 디스크를 요하는 오류수정암호로 반복 수행한다.
3단계: 2단계와 같으며 오류를 수정할때 패리티정보는 디스크 한개만 필요하다.
4단계: 2,3단계와 유사하다. 단, 정보를오류수정 정보와 구분한다. 이는비능률적이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5단계: 4단계와 같으며 단, 패러티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 기록한다.
HSM(계층별 저장관리)은 액세스 빈도, 필요속도, 및 유용한 저장 계층, 그리고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가장 적절한 매체를 사용한다.
HSM의 주목적은 매개체 계층안에 있는 수 많은 계층을 지원하는 것이다.
비활성 정보는 고가의 HDD에 비용이 저렴한 광학 또는 테이프 저장장치로자동 전송된다. HSM 기술은 메인프레임이외의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HSM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부분의 수요는 유닉스 및 NOS 환경과 관련된 것이다.
HSM는 정보를 항상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해 줌음으로써 사용할 때마다 절차를 바꾸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저렴하고 속도가느린 매개체로 바뀌지만 어드레스로 불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HSM은 디스크저장에 대한 끊임없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자동화된 처리방법이다.
종래의 HSM 방법은 속도가 빠른 매개체(고속 디스크 또는 RAID)에서 비압축된 정보를 저렴한 직접 엑세스 장치(자기 또는 광디스크)와 같이 중간 압축된 형태 로 옮긴 다음 최종적으로 로보트 테잎에 저장하는 것이다.
<국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