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원, 방사선기기 운영실태 조사

전국 보건소와 결핵협회·학교보건원 등의 방사선 진단기기의 절반가량이사전검사를 받지 않은 것이며 흉부 X선 간접촬영장치 10대 중 8대가량이 선진국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낡은 장비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가슴에 대한 X선 촬영시 방사선으로부터 생식기관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골반방어용 앞치마를 보유한 곳은 26.8%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립보건원이 지난해 전국의 보건소 2백43개,대한결핵협회 부설 의원 13개, 학교보건원 1개 등 2백57개 기관을 대상으로의료용 방사선기기 운영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결과 이들 기관에 설치된 4백44대의 진단용 방사선 촬영장치 중 사용한 지 10년 이상된 노후장치가 16.7%를 차지했다. 또 사전검사가 의무화된 80년 7월1일 이후 설치된 4백29대 중 사전검사를 받지않은 장치가 48.2%인 2백7대에 달했다.

흉부 X선 간접촬영장치의 경우 2백80대 가운데 23%가 10년 이상 사용된 것이었으며 더욱이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하지 않는 70㎜필름을 사용하는 장치가 77.9%로 1백㎜ 필름 사용장치는 62대인 22.1%에 불과했다.

70㎜ 필름 사용장치는 1백㎜ 장치에 비해 많은 양의 방사선을 쪼여야 선명한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환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기 위해 오래전부터 1백㎜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 흉부 X선 간접촬영장치 중 형광지를 교환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27.9%인 78대에 지나지 않았는데 형광지는 최소한 2년마다 한번씩 교환해주지 않으면 화상 선명도가 떨어져 촬영시 방사선량을 2배로 늘려주어야 한다.

방사선 업무 종사자는 개인 피폭량 및 건강진단을 주기적으로 받도록 의무화돼 있으나 조사대상기관 관련종사자 4백22명 가운데 69.9%만이 개인 피폭량 측정을, 80.3%가 주기적 건강진단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대상기관 2백57개에서 94년 1월부터 12월 31일까지 실시한 흉부X선 촬영은 총 4백14만4천여건으로 종사자 1인당 평균 연간 9천8백20건이다.

한편 국립보건원은 의료기관에서의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설치 및 이용이 급증하고 있어 지나친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암발생 및 유전적 영향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 조사대상 의료기관을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효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