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고도의 정보 기반 산업에서는 CALS/EC라 대표되는 사회 경제 활동이 주를 이루게 된다. 그 형태가 단순한 텍스트에서부터 멀티미디어 형태를 갖는 상업 거래 자료의 교환/보존은 물론이고 각종 수단에 의한 자금의결제, 그리고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관련 정보의 실시간 공유등의 기능등을 폭넓게 제공하는 CALS/EC가 정부, 민간 등을 막론하고 생존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정보 집약화/효율화의 초석이 된다. 이러한 CALS/EC의 실현을위하여는 각국이 앞을 다투어 구축하고 있는 CALS/EC 기반 망이 되는 초고속망의 구축, 각종 프로토콜 등의 표준화, 응용 시스템의 개발, 전자화폐 이용등에 따른 국가의 화폐 관련 기능 조정, 과세 등의 관련 법 제도의 정비등많은 요소가 필요하다. 이 요소들이 모두 나름대로 중요성과 긴박성을 갖고있겠으나, 장기적인 계획과 투자가 필요한 분야이며 무엇보다도 선결되어야하는 부분이 바로 CALS/EC의 근간이 되는 정보통신 보호 분야이다. 이 분야의 핵심 이론들은 수학, 이론 전산학 등의 기초 분야에서 창출되어야 하는고유의 원천 이론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자화폐는 현재 일반인에게 가장 접근되어 있는 CALS/EC상의요소이다. 기존의 화폐가 가진 속성 등을 그대로 구현하기 위하여는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이는 암호학의 이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안전한 온라인 대금 결제를 위한 프로토콜등에서 정보통신 보호 이론은 핵심을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W3C와 CommerceNet 이 공동으로 개발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의 전자 상거래 표준인 JEPI(Joint Electronic Payment Initiative)는 신용카드 뿐 아니라 직불카드, 전자화폐, 수표 등의 처리도 가능하고 기존의 각종 보안 관련 프로토콜인 STT, SEPP, SSL, S-HTTP 등을 수용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 성공을 가늠하는 것은 바로 안전성을 보장하는데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에 달려있다고 한다.
또한 표준화된 문서나 비정형 정보의 교환에 활용되는 EDI와 e-mail 시스템들에서도 암호학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EDI의 표준인 UN/EDIFACT,ANSI X.12, X.435등에서 제공되는 보안 서비스로는 사용자 인증, 발신처 인증, 메시지의 비밀성과 무결성, 발신처 및 수신처의 부인봉쇄, 전달의 증명및 부인 봉쇄, 검색의 증명 및 부인 봉쇄등이 있다. 이 모든 서비스를 위한보안 메커니즘들은 모두 암호학의 이론에 의하여 설계되고 그 안전성이 검증되는 것이다. 이는 e-mail 보안 시스템들인 S-MIME, PGP, PEM, X.400 MHS에서도 마찬가지로 각종 보안 서비스들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들도 역시 정보통신 보호 이론에 기반을 둔 메카니즘들로만이 구현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외에도 CALS/EC의 활용을 위한 분산 개방형 시스템의 보안, 데이터 베이스의 보안등에도 암호 기술은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이와 같이 CALS/EC에서의 핵심 요소 기술로서 활용되는 여러 가지 정보통신 보호 기술들의 독창적인 연구 개발과 세계화의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광운대학교 수학과 김철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