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가전 토막상식 (17);시스템키친

시스템키친이란 부엌가구와 가스오븐레인지·냉장고·식기세척기·세탁기·전자 레인지 및 기타 가정자동화(HA)기기·라디오·TV 등을 결합해 하나의제품처럼 만든 것을 말한다.

시스템키친은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과 부엌가구를 일체화시켰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고 제품 사용의 편리성 및 효율성도 높다.

과거 부엌의 기능은 식사준비만을 위한 공간이었으나 산업화의 진전으로핵가족화가 빠르게 발달하고 각종 전자제품이 발달함에 따라 부엌의 기능이가족과 모일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일부 AV제품을 제외한 대부분 가전제품이설치되는 공간으로 변화함으로써 이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해왔으며 국내엔 80년대 이후부터 소개되기 시작했다.

최근엔 시스템키친의 개념이 더욱 발달해 부엌가구에 자동화기기를 설치해싱크대가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자동조절 되거나 식기세척기 등이 사용할 때만 밖으로 튀어나오는 제품들도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

또 퍼지이론을 채용해 센서 정수기·센서 후드·센서 조명 등의 제품이 시스템 키친에 부착되고 있으며 바이오기능을 채용한 바이오 미니쌀통·공기청정기 등의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엌가구에서 차지하는 가전제품의 비중도 커지고 있다.

시스템키친 세트의 가격을 1백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전자제품의 비중은 86년 2%에 불과하던 것에서 90년에는 5%, 94년엔 18%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오는 98년엔 시스템키친 가격의 40% 이상을 가 전제품이 차지할 것으로전망되고 있다.

시스템키친의 가격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과거엔 시스템키친의 세트당 가격이 보통 1천만원 이상이어서 일반인들은 구입하기가 부담스러웠으나 최근엔 고가의 수입품 위주로 채용됐던 시스템키친용 붙박이 가전제품이국산화됨에 따라 가격이 낮아지고 있는데다 가구 소재 역시 원목 등 고가품위주에서 싼 가격의 소재로 바꾼 중저가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스템키친 시장은 올들어 다소 주춤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해까지 급증세를 보여 전체 시장규모는 중소업체들의 매출을 포함해 약 5천억원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