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의료기기업계, 보건소 수요잡기 총력전

전자의료기기업체들이 보건소 마케팅을 강화한다.

14일 보건복지부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보건소는 열악한 재정과 인력난으로 인해 첨단 의료기기나 고가장비가 거의 보급되지 않아 일반인에게는 예방접종이나 하고 감기환자나 치료하는 낙후된 의료기관으로 인식돼 왔으나 최근 국민의 의료서비스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각급 보건소가 첨단전자의료기기 도입을 크게 늘리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시대의 개막과 함께 민선 자치단체장들이 등장하면서 보건의료분야에 관심이 많은 자치단체장의 경우 많은 예산과 전문인력을 배정하고의료기기 신규도입을 확대하고 있어 보건소의 첨단 전자의료기기 도입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심지어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나 필요한 전산화 단층촬영장치(CT), 자기공명 영상진단장치(MRI) 등의 첨단 고가장비 도입을 선거공약으로 내세우고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보건소도 많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지역 병, 의원의 반발까지 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초음파 영상진단기, X선 진단장치, 골밀도측정기, 자동혈압계등 주로 진단장비를 생산하거나 수입 판매하는 업체들은 보건소 의료장비 구매가 조달청과 보건소 자체 입찰을 통해 이뤄지는 것을 감안, 전담 입찰요원을 확보하는 한편 각급 보건소의 의료기기 구매계획 및 수요실태를 파악하는등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이들 업체는 전국 2백44개(8월14일 현재) 보건소중 비교적 재정이 탄탄한 서울시 각 구 보건소와 경기도지역의 보건소를 집중공략 대상으로 설정하고 신규도입은 물론 대체수요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1차 진료기관인 보건소의 의료기기 도입확대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일부 보건소는 첨단 의료기기 도입에 급급, 실정에도 맞지 않는 고가의료장비와 외산 제품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는데 저렴하고 질좋은 국산 의료기기를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효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