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단지 입주승인을 받은 일부 민간기업 연구소 가운데 10년이 넘도록 착공조차 않고 있는 기업들이 있는가 하면 최근 들어선 기업의 경영악화와 이에 따른 연구개발(R&D) 투자조정을 이유로 입주를 포기하거나 지연시키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1일 대덕연구단지에 따르면 총 8백34만평의 연구단지 가운데 지난 73년 이후 현재까지 교육연구시설지, 주거지, 사업지 등으로 조성된 것은 계획규모 4백75만평의 98%에 해당하는 4백64만평으로 현재 52개 기관이 입주해 있으며 아직까지 조성되지 않은 11만평에는 12개 기관이 입주키로 돼 있다.
그러나 이들 입주예정 기관 가운데 현지의 방송기술개발연구소는 최근 내부 사정을 이유로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산업연구원과 삼양화학기술연, 린나이코리아연, 라니기술연 등 4개 기관은 입주포기 후 이를 다시 번복했으나 현재 입주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관계자들은 판단하고 있다.
이밖에 한일합섬부설 한효과학기술원과 한솔기술원의 경우는 입주예정일을 훨씬 넘긴 채 최근에야 건물 착공에 들어감으로써 실질적인 연구활동 개시가 상당기간 지연될 예정이다. 또 일부 기관은 건물완공 후 일부 건물을 창고로 활용하는 사례가 적발되기도 했다.
연구단지 관계자는 대덕연구단지 입주 승인을 받은 뒤 10여년이 지나도록 R&D투자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착공조차 않고 있는 기업들이 있다고 밝히고 과학기술처 기획관리 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대덕연구단지 입주기관심의회의 세심한 심사를 통해 이들 민간기업의 대덕연구단지 입주를 선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 연구원들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정보통신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민간연구소의 유치를 적극 추진, 대덕연구단지를 정보통신 연구개발분야의 메카로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보통신 관련 정부출연연 관계자들은 『최근 대덕연구단지 내 전자통신연, 시스템공학연, 과기원, 표준연 등 정부출연연과 연계할 수 있는 정보통신분야의 기업들이 대덕연구단지 내 연구소 설립을 원하고 있으나 현재 마련된 부지가 적어 이들의 입주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연구소 입주승인 심사를 강화해 연구목적 이외의 입주를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과기처와 대전시의 협의를 통해 대덕연구단지 내에 정보통신분야 민간연구소 유치를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전=김상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