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공동화 우려할 수준 아니다 ..KDI 주장

기업의 해외진출로 인한 국내 산업공동화는 아직 우려할 수준이 아니며 시장확보 또는 기술습득을 위해 추진되는 해외투자는 오히려 적극 장려돼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승진 박사는 15일 대한상의가 개최한 「산업공동화에 대응한 산업입지 정책과제」 토론회에서 최근 기업들의 해외진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해외 직접투자액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67%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며 선진국 및 여타 경쟁국들에 비해서도 낮은 편이라고 분석, 이같이 주장했다.

김 박사는 「산업공동화 정책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시장확보나 기술습득, 수입규제 탈피를 위해 추진하는 해외진출은 기업경쟁력 및 수출강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시장상실, 수출둔화, 기술경쟁낙오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해외투자를 무조건 막기보다는 산업구조 고도화의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정책적인 산업구조 조정이 뒤따라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LG경제연구원 오문석 박사는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원인」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는 전자,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산업공동화의 우려를 낳고 있는 대기업들의 해외진출은 국내 고비용 구조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시장확보나 기술개발, 신사업개척 등 기업의 세계화 전략을 위해 긍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김성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