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해외진출 정보통신업체에 자금 지원

정부는 정보통신 산업의 해외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중국등 12개 거점국가를 선정, 대외경제협력기금(EDCF)등 각종 수출 자금을 집중 지원키로 했다. 또한 중소 정보통신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민관 공동으로 정보통신기업 해외진출 지원센터를 설립할 방침이다.

정보통신부는 21일 이같은 내용의 「정보통신산업 해외진출 확대 대책」을 마련,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수출 대상국 다각화를 위해 성장잠재력, 시장규모, 진출 용이성 및 주변 국가에 대한 EDCF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무상원조 자금을 지원하고 집중 지원키로 했다.

이를 위해 중국, 베트남(동아시아), 루마니아, 헝가리(동유럽), 브라질, 칠레(중남미), 러시아, 우즈벡, 카자흐스탄(독립국가연합(CIS)), 인도, 이스라엘, 튀니지(중동 및 아프리카)등 12개 국가를 거점국가로 선정했다.

정부는 개발도상국에 대해서는 기본통신망 건설사업 및 무선통신사업등 통신 장비수출을 기반으로 하는 후속사업을 중점 공략하되 선진국에 대해서는 개인휴대통신(PCI), 저궤도위성이동통신, 소프트웨어 등 첨단 정보통신분야의 기술 제휴나 표준화 상호협력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국설교환기, 무선휴대단말기,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등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전략적 수출 품목으로 선정해 수출 대상국가와 투자보장협정, 이중과세방지협정 등을 체결하는 한편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통부는 특히 중소 정보통신업체들의 해외진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민간과 정부가 동동 운영하는 중소정보통신 해외진출 지원센터 설치를 적극 검토하는 한편 통신사업자나 장비제조 대기업과 동반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해외 진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통신사업자, 시스템통합(SI)사업자 등의 시스템 운영사업자와 장비 업체가 공동으로 진출하는 방식과 완성품을 제조하는 대기업과 관련 부품업체의 동반진출, 외국 선진통신사업자나 제조업체와 컨소시엄 형태의 진출 등 관련업체간 협력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