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스트롱 SIA부회장 내년 반도체 경기 밝다 전망

최근 반도체시장 경기회복을 예고하는 전망들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산업은 이미 경기회복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내년과 98년의 반도체경기 전망이 무척 밝다』는 이제까지의 전망보다 적극적인 경기낙관론이 제기됐다.또 한국 반도체업체들이 세계시장에서 항구적인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범용 ASIC제품 및 마이컴 등 부가가가치가 높은 비메모리 전략제품을 집중 육성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4일 한국반도체협회(회장 김광호)와 세계경제연구원(이사장 사공일)이 미국반도체협회(SIA) 전문가들과 버클리국제경제라운드테이블 소속 학자들을 초청,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세계 반도체시장의 발전전망과 한국 반도체산업의 미래」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토머스 암스트롱 SIA 부회장은 『미국 반도체산업은 이미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됐으며 앞으로 수년간 높은 성장을 거듭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암스트롱 부회장은 또 『D램 시장은 내년에 7% 정도 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98년과 99년에는 두자릿수의 성장률이 예상된다』면서 『올해 반도체산업의 총매출액이 1천3백억달러에 달하고 이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2000년에는 2천억달러, 2010년에는 1조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존 코넬 미국 CTE 사장은 이와 함께 『앞으로 한국은 방대한 투자와 심한 가격경쟁을 수반하는 D램 대신 부가가치가 높은 집적회로(IC)를 전략 생산품목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IC 가운데도 특별용도로 만들어진 표준제품, 마이크로 컴퓨터기능 중심의 제품쪽으로 전략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넬 사장은 『이를 위해서는 한국 업체들이 반도체 생산자체와 장비생산, 소프트웨어 공급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외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하며 아울러 적절한 기술정책과 자금지원 등 정부의 지원기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한, 미 반도체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미국과 일본 반도체산업간 협의에 따라 추진중인 세계반도체위원회에 한국도 조기 참여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이를 위해 무엇보다 반도체에 부과되는 현행 관세제도 철폐에 힘써 나가기로 했다.

〈김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