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스프레이연구조합이 주관한 제3회 LCD 기반기술 개발사업 세미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3일간 산학연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강원도 횡성에 있는 현대 성우리조트에서 열렸다.
중반기를 넘어선 3차연도 과제수행의 결과보고와 장비, 부품/소재, 모듈업체간의 정보교류 및 상호협력을 위해 마련된 이번 세미나에서 참석자들 대부분은 총 5개년 과제로 앞으로 2년정도 남은 LCD 기반기술 개발사업이 매우 성공적인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게 됐다며 입을 모았다.
차세대 기술의 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는 선도기술 개발사업(G7)과 달리 현재 산업현장에서 시급히 필요한 생산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LCD 기반기술 개발사업은 2차연도인 지난해에도 총 22개 과제중 8개 과제가 목표를 완수하는 개가를 올렸으며 LCD장비 7개, 부품/소재 7개, 모듈 5개 등 총 19개 과제의 수행결과가 발표된 올해에도 총과제의 절반정도가 개발완료되는 성과를 보였다.
서강대 이신두 교수는 이와관련,『LCD 기반기술 개발사업은 업체가 꼭 필요로 하는 과제를 우선적으로 선정한 데다 과제를 맡은 업체들도 과제수행에 따른 사업성을 크게 인식, 적극적으로 매달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특히 과거 반도체와 달리 LCD업계가 장비, 부품/소재의 조기 국산화가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교수는 『LCD산업이 워낙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난해 또는 올해에 개발완료된 과제가 대부분 3백70×4백70㎜ 크기의 유리기판을 채용하는 장비나 10.4인치 이하 모듈에 채용되는 부품/소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상품성을 위해서는 시급히 버전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TFT LCD는 지난해까지만 하더러도 10.4인치가 주종을 이룰 것으로 예상됐으나 올 들어 급격히 12.1인치로 전환되는 변화를 맞았다.
LG전자의 이춘래 상무는 『LCD 기반기술 개발사업은 모듈, 장비, 부품/소재업체들이 개발과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상호협력하는 자세를 견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경쟁력과 생산성을 갖춘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세미나에서 장비업체 관계자들과 모듈업체 관계자들간에 뜨거운 토론과 자료요청, 부품/소재업체들과 장비 및 모듈업체들간의 협조 요구사항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은 장비 및 부품/소재의 국산화가 머지않았음을 예고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개발과제의 심사를 맡고 있는 생산기술연구원측의 한 관계자는 『과제수행업체들의 괄목할만한 성과와 발표자들의 충실한 자료 및 설명, 그리고 수강자들의 진지한 자세가 돋보인 자리였다』며 『앞으로 2년을 남겨두고 있는 LCD 기반기술 개발사업이 내년도에 채택될 신규과제와 현재 남아있는 계속과제가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경우, 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자리매김은 물론 LCD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유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