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경] 한.일 반도체업계, 64MD램 조기 양산놓고 고민

64MD램의 조기양산 여부를 놓고 한, 일 메모리업체들이 큰 고민에 빠졌다.

16MD램의 가격이 약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64MD램을 강력하게 드라이브할 경우 자칫 64MD램까지 꽃봉오리도 피어보지 못하고 가격급락의 수렁으로 빠져들 공산이 크다. 그렇다고 초기시장 선점효과 큰 D램시장에서 소극적인 눈치작전만 펼 수도 없는 이래저래 어려운 입장이다.

일단 업체들의 발표대로라면 한, 일 반도체 업체들은 64MD램 조기양산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처럼 보인다. 세계 D램업계의 대표주자격인 삼성전자와 NEC가 이미 내년 초까지 월 1백만개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한 데 이어 최근 현대전자, LG반도체,일본의 미쓰비시, 도시바 등이 연말까지는 모두 월 10만개 수준의 양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럴 경우 64MD램 시대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6개월 이상 빠른 내년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의 견해는 이와 다르다. 한, 일 메모리 업체들의 64MD램의 양산체제 구축이 업체들의 발표대로 가기에는 시장환경이 이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비트크로스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64MD램의 가격이 최소 16MD램의 6배 정도는 돼야 하는데 16MD램의 가격이 워낙 바닥세라 D램 생산업체들이 가격을 맞추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10달러선에서 머물고 있는 16MD램의 6배라고 해도 60달러선인데 이 가격으로는 초기시장 선점은 커녕 오히려 생산초기부터 적자가 날 가능성이 더 크다는 분석이다.

특히 16MD램의 가격이 내년 1‘4분기까지 10달러 내외에서 머물 것으로 보여 사실상 64MD램의 초기시장 선점효과는 불가능하다.

S사의 한 임원은 『일반적으로 16MD램 가격급락의 대안으로 64MD램의 조기양산을 거론하고 있으나 이는 반도체 세대교체의 생리구조를 잘 몰라서 나온는 얘기』라고 일축하며 『무엇보다 현재의 가격구조에서는 D램시장의 최대강점으로 꼽히는 초기시장 선점에 따른 고부가가치 전략을 실현할 수 없다는 점이 64MD램 드라이브정책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업계의 한 전문가도 『1, 2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상당수의 D램 업체들이 가격폭락으로 인해 16MD램에서 투자비를 회수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초기시장 선점효과가 불투명한 64MD램의 조기양산체제 구축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다.

따라서 64MD램시장은 현재와 같이 삼성전자와 NEC가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용 시장을 중심으로 조금씩 시장을 넓혀가는 수준에서 소폭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나머지 후발업체들도 64MD램 조기가동보다는 선발업체와의 격차를 더이상 벌리지 않을 정도의 수준도달에 힘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들 한%일 후발업체들은 16MD램의 투자비 회수가 관건인 만큼 64MD램보다는 16MD램의 수율향상과 3세대 이상급의 공정기술을 이용한 넷다이수 늘리기에 주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64MD램의 본격적인 양산체제 진입시기는 16MD램의 급격한 수요증가로 가격밸런스가 어느정도 맞아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2‘4분기 이후에나 가능하고 삼성전자와 NEC가 공동보조를 맞출 경우 좀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는 관측이 유력하다.

〈김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