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홈페이지 명소순례] 한국 전통박물관

인터넷이라는 첨단과학기술로 복원한 한국의 「전통문화」.

중앙대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는 최근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장하고 있는 중, 소규모 박물관을 소개한 「한국전통박물관」 홈페이지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성장위주의 정책으로 소외됐던 우리의 전통을 되돌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개설된 이 사이트는 「풀무원 김치박물관」 「한국고목가구박물관」 「전쟁기념관」 「우표박물관」 「국악박물관」 「절두산 순교박물관」 등 14개의 전통문화 박물관을 소개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통 경제활동의 혈액과도 같은 존재로 이어내려온 「화폐」 「궁중유물」 「의상」과 관련된 전통문화를 총망라했다.

이 홈페이지는 생활주변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박물관을 위주로 하되 우리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우리문화를 세계에 알리고자 개설됐다.

소개하는 한국의 「전통」도 도자기, 서화, 공예품 등 고가 소장품 위주의 내용을 지양, 생활에 밀접한 문화위주로 내용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통박물관에서는 각 박물관에 대한 개요와 교통 안내도, 주요 전시품에 대한 의미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물론 각 박물관이 갖고 있는 전시품 목록과 사진, 용어해설을 달아 한국의 전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우리나라 근대 우정의 창설역사나 발행우표의 종류, 병인박해 때 수많은 천주교신자들이 순교한 절두산 성지, 성구, 역사적 해설이 이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주요내용.

조선시대의 혼례행렬이나 회갑, 돌잔치의식과 상여행렬과 장터풍경 등을 박물관을 직접 찾지 않고도 감상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국내에서 사용된 화폐와 지금으로부터 3000년까지로 거슬러 올라가는 김치역사와 김치가 빨갛게 된 이유, 삼국, 조선시대의 김치 등 지나치기 쉬운 우리의 전통이 소개돼 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oback.kornet.nm.kr/∼kjk55/museum.htm이다.

〈이규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