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96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명과 암 (1);반도체 소자

96년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장이 극명한 명암을 보인 한해였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국내 수출상품 가운데 제일의 효자상품으로 꼽혔던 D램의 위상이 가격급락으로 급전직하한 데 반해 디스플레이 산업은 생산능력 확대와 수요 급증세에 힘입어 수출주도상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유난히 사건이 많았던 올 한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을 수요품목을 중심으로 6회에 걸쳐 결산해본다.

<편집자>

올 한해 반도체시장의 최대 이슈는 D램 가격이었다.

지난해 10월부터 본격화된 D램 가격급락이 몰고온 한파는 국내시장은 물론 세계 반도체시장에도 엄청난 파장을 가져왔다. 무엇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매년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며 초호황세를 구가해온 반도체시장을 한숨에 급전직하시켜 1년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서게 했다.

반도체시장 전문조사 업체인 데이터퀘스트는 지난 10월 중순에 발표한 추계전망치를 통해 올해 반도체시장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9% 정도 감소한 1천3백70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7.6%의 저성장을 예상한 춘계전망치보다 무려 16.6%나 줄어든 것으로 D램 가격급락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올해 국내 반도체수출 수정목표치도 당초 목표했던 3백50억달러의 절반수준인 1백80억달러에 불과하다. 이중 일관가공 제품이 1백20억달러로 전년보다 18% 줄었고 특히 D램은 1백억달러로 무려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반면 비메모리 제품과 조립은 각각 9억4천만달러, 60억달러로 전년보다 오히려 39%, 34%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도체수출 감소의 주 원인은 D램 가격폭락 때문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개당 50달러를 호가하던 16MD램의 가격이 5분의 1 수준인 10달러선으로 급락한 것은 「반도체 공황」으로 불렸던 지난 85년에 버금가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많은 이들이 말할 정도다.

이같은 D램 가격급락은 반도체 3사의 매출은 물론 수익구조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해 올해 삼성전자의 반도체매출은 6조3천억원에 이익은 4천억원에 머물고, 현대전자와 LG반도체도 각각 2조3천8백억원(이익 8백억원)과 2조3천5백억원(이익 1천억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같은 D램시장 위축이 가져온 파장 가운데 긍정적인 면도 적지 않았다. 무엇보다 가격급락은 D램의 불안정한 시장구조를 반도체 업체에 여실히 깨닫게 해 메모리 호황에 취해있던 반도체 업체들이 비메모리분야에 본격적으로 눈을 돌리게 하는 계기가 됐다. 이에 따라 반도체 3사는 ASIC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비메모리 육성계획을 세우고 집중투자에 나서고 있고, 아남그룹도 TI와 손잡고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96년은 또한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해외진출이 본격화된 원년이다. 삼성이 미국 오스틴에, 현대가 미국 유진과 영국 스코틀랜드에 진출키로 한 데 이어 LG반도체도 영국 웨일스에 대단위 투자를 감행해 국내 반도체 3사 모두가 해외생산기지를 보유하게 됐다.

올 말미에 들려온 낭보도 있었다. LG반도체가 4GD램을 제조할 수 있는 X레이 노광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삼성전자가 10억개의 셀이 완벽하게 작동하는 1기가 풀워킹다이를 세계 최초로 개발, 기술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밖에 「미, 일 반도체협정」 폐지로 민간기구인 민간반도체협의회(WSC) 창설돼 세계 반도체시장 구도에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고 있는 것과 대만의 D램생산 본격화 등도 올해 반도체 소자업계의 주목을 끈 것중의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