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출연연 및 민간연, 산업계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 정책의 혁신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과학담당 관료, 정부부처 공무원들을 체계적으로 연수, 교육시키는 과학기술정책연수원 또는 과학기술정책담당자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새롭게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민간연구소 관계자들은 국내 주요 그룹 임원들의 절반 이상이 이공계 출신인데 반해 정부 부처의 국장급 중 이공계 출신이 20% 정도에 불과해 이들 대부분이 연구개발이 주를 이루는 과학기술계의 생리를 파악하지 못해 단발성의 정책만을 제시하고 있다고 지적,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해당 공무원에 대한 과학기술정책 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과기처 장관의 잦은 경질을 비롯하여 예산담당 부처 등 관련부처 관계자들의 잦은 인사로 인해 체계적인 정책 마련이 어렵고 관계자들 역시 과학기술정책에 문외한인 경우가 허다해 정부출연연 및 민간연 관계자들의 업무추진 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들은 정부 부처 중 과학기술을 담당하는 분야는 타분야와 달리 국가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부서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교육 및 연수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 과학기술분야 담당관료나 정부출연 연구기관 및 공공시험, 연구기관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과정을 도입, 과학기술정책과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이러한 제도가 시행될 경우 국가 공무원 사이에 과학기술 마인드가 크게 고양됨은 물론 실제 연구 현장과 접목된 과학기술정책 마련 및 예산배정이 가능해 과학기술계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처의 한 관계자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별도의 큰 예산을 들이지 않고 시행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밝히고 『짧은 일정 속의 단기적인 연수과정보다는 정부부처 및 연구원의 각 직책에 맞는 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대전=김상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