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의료기기 관련 소규모 공동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의료용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하창화)은 의료기기 업체들의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공동으로 연구하고 제조 및 시험관리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소규모 공동단지 조성에 나섰다.
의료용구조합이 이처럼 공동단지 조성에 발벗고 나선 것은 보건복지부가 의료기기에 대한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for Medical Devices)을 도입하는 등 강화되는 품질관리 제도에 부응하면서 관련업체의 시설투자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의료용구조합은 이르면 이달 중으로 입주 희망업체에 대한 수요조사에 나서는 한편 정부 및 관련단체와 부지문제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의료용구조합측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의료기기산업 육성정책이 기술개발에 치우쳐 산업체와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며 『최근 들어 수입에서 제조로 방향을 선회하는 중소 의료기기 생산업체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공장부지문제를 해결하는 공동단지 조성에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충북 오송 신도시에 2005년까지 3백만평 규모의 의료전용 복합단지를 조성하고 국공립병원, 연구소, 의료기기 및 의약품 제조업체 등을 입주시킬 방침이나 계획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데다 의료기기 업체들의 경우 주로 영업이 이뤄지는 수도권과 멀리 떨어져 있고 고물류비와 직원들의 지방근무 기피가 예상되는 등의 이유로 호응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효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