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인터넷시대 세계를 향한 경영 (16)

지지 않는 태양 (5)

예를 들어 "핫 자바"를 알리고자 할 때 선 사이트 서버의 "신제품"코너에 특집으로 올렸다. 그리고 각 지역 서버들은 선사 본사의 홈페이지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런 방법으로 언제나 훨씬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얻게 된다.

조쉴라는 대부분의 협력대학은 일단 선 사이트를 구축하고 가동에 들어가면 선사의 지원을 거의 요구하지 않게 된다고 말한다.

각 대학에서는 인터넷 접속에 익숙한 내부 기술요원을 두고 있으며 월드와이드웹에 콘텐트를 추가하기 위한 기술도 쉽게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생겼을 때 이들은 대부분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선사의 지역 사무소를 통해 해결한다.

이들 지역 사무소는 또 대학이 선 사이트와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장려함으로써 보다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각 지역에서 갖고 있는 개발관심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축적하고 있다.

한 예로 일본 동경대학의 선 사이트 재팬은 선사와 멀티미디어 프로젝트에 협력해 멀티미디어 정보 및 데모를 독자적인 홈페이지에 올리고 있다.

선 사이트에 접속해 조금만 살펴보면 인터넷이 얼마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선사가 모든 서버에 일반적인 내용만을 제공하는데 반해 각 지역에서는 독자적인 개성을 갖고 있는 특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런던의 임페리얼대학 서버는 하루 접속건수가 20만건이 넘는 선 사이트 가운데 두번째로 접속빈도수가 높은 대학이며 방대한 공공 소프트웨어를 보유해 유럽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ftp 사이트다.

임페리얼대학의 기술지원요원들은 현재 선 사이트와 다른 인터넷 서버들이 한 지역서버에서 다른 지역서버로 데이터를 자동 연속 복제해주는 "미러"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비롯해 새로운 소프트웨어개발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인터넷이 그리 확산되지 않은 지역에서 선사 사이트 네트워크를 갖고 있는지역 조직들을 연결해 경제개발과 외부투자에 기여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워터스란드대학의 선 사이트가 남아공에 관한 비즈니스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아프리카 모든 지역의 인터넷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 남미에서는 칠레대학의 선 사이트 칠레가 칠레의 경제.정부 및 관광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