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단지, 제조업체와 연계 미흡

우리나라 과학기술계의 산실인 대덕연구단지와 인근지역 소재 제조업체와의 실질적인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25일 관련업계 조사에 따르면 대전지역은 과학기술처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포함, 총 32개의 국공립 출연연이 입주해 있는 등 국내 최고의 연구기관 중심도시로 발전하고 있으나 대전지역에 입주해 있는 제조업체 수는 9백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집게됐다.

이는 30개 연구기관이 있는 서울지역의 제조업체 11만8천여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대덕연구단지를 포함한 이 지역 국공립 연구기관과 제조업체의 협동연구, 공동제품개발 등 산학연 연계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수치는 경기도가 24개 국공립연구기관에 1만6천여 제조업체, 부산광역시가 2개 국공립 연구기관에 6천8백여업체, 강원도가 9개 연구기관에 1천2백여 제조업체를 보유, 각종 협동연구과제를 도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연구개발 과제를 상품화시킬 수 있는 기업체의 입주가 이뤄지지 않아 국내 과학기술계의 산실인 대덕연구단지와 지역업체의 중소기업 기술지도는 96년 말 현재 40건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대전지역 입주 기업체 수는 제주도의 1백30여개 업체, 광주광역시의 7백70여개 업체에 이어 고작 9백여개 업체에 불과하고 그나마도 섬유, 신발, 가구 등 채산성이 낮거나 사양산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대덕연구단지 등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첨단 과학연구개발 성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첨단 전자 정보통신, 생명공학, 기계공학, 항공우주산업 등 과기처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각종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할 수 있는 업체들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어서 대덕연구단지와 연계한 제조업체의 각종 정보교류를 통한 국가산업발전 등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대해 관련업계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기술도시 개발사업이 민간기업의 입주를 고려하지 않는 지역적 안배에 치우쳐 이뤄져 왔기 때문』이라고 평가하고 『과학기술도시 육성 및 국가 차원의 연구단지 조성은 민간과의 충분한 협의를 거친 뒤 산학연 공동연구, 제품개발 등이 한꺼번에 이뤄질 수 있는 테크노파크 형태로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김상룡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