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악화된 국내 경제환경은 아직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물론 고비용, 저효율로 압축되는 국가경쟁력의 저하가 원인일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정부대로, 기업은 기업대로 처방과 전략을 짜내기 위해 고민하고 있지만 경제가 호전될 기미는 여간해선 보이지 않을 기세다.
급기야는 북한 최고위급 인물의 망명에다 鄧小平 사망까지 숨돌릴 틈조차 없는 「정치적」 빅 뉴스에도 일반 국민들이 보이는 무관심이 예사롭지가 않다. 며칠 전 어느 신문의 여론조사 결과가 말해주듯이 지금 우리 국민들은 그 무엇보다도 경제의 회생을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생각하고 있다. 그만큼 경제위기가 일반 국민들의 피부에까지 심각하게 와 닿고 있는 것이다.
물론 지금의 위기상황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느 일방의 지엽적이고 단기적인 접근이 아니라 생산현장의 효율화와 각종 법규 및 제도의 합리화 등 각 분야가 국가 경쟁력을제고하는 방향으로 힘을 모으는 종합적, 장기적 처방이 필수적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난 수년 동안 우리 모두가 합의하고 실현을 위해 투자해 왔던 대명제, 즉 「정보화」가 21세기 국가 경쟁력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것을 더욱 깊이 인식해 더욱 적극적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야 말로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정보화가 경제적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라는 것은 이미 확인된 바 있다. 지난 80년대 유럽과 일본의 성장세에 밀려 고전하던 미국의 공룡기업들이 정보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금 다시 세계경제의 주도권을 잡게 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당시 미국 기업들은 정보기술을 활용, 비즈니스 프로세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저함 없는 투자를 쏟음으로써 제품개발 기간과 비용을 대폭 감축하고 고객만족도를 끌어올려 경영을 정상화하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최근 국내 기업들에게도 관심이 커지고 있는 광속상거래(CALS)를 구축해 대형항공기의 개발기간을 2년이나 앞당기고 오류발생률을 80% 가까이 낮춘 보잉사가 그렇고, 인트라넷상의 자재조달방식인 TPN(Trading Process Network)을 도입, 자재조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확보해 비용의 대폭적인 삭감에 성공한 GE(General Electroni Co.)사가 그렇다.
그러나 지금 이 시점에서도 우리의 정보화 수준은 미국의 7분의1, 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선진국이 지금 정보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보다 우리의 노력이 열 배도 넘게 앞질러야 21세기에는 그들과 동등한 반열의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진다는 결론이다.
지금이야말로 정보화가 단순히 비용이 아니라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라는 인식의 대전환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돌리는 현명한 대처가 절실한 시점이다.
최근의 노동법 사태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비용을 삭감하려는 직접적 정책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면 반대로 고효율을 담보하는 정보화에 과감히 투자해 경제성장의 든든한 반석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그 어느 때보다도 아쉬운 때다.
<張承郁 쌍용정보통신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