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 보급 확대책 급하다

국내 태양전지 시장이 협소한 데다 정부와 업계의 수요창출 노력도 미진해 그동안 개발됐거나 진행중인 태양전지 기술이 사장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돼 태양전지의 보급확대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다.

정부는 오래 전부터 무공해 대체에너지인 태양전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지원 및 보급사업에 나서고는 있으나 지난 91년 한국통신의 낙도 전화보급을 위한 중계기 전원공급용으로 수행해온 DDD사업을 종료한 이래 하와도, 마라도, 호도 등 몇몇 낙도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용량을 증설하는 등의 소규모 사업만 지속하고 있을 뿐,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규모의 보급사업은 마련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LG산전 등 국내 태양광 발전시스템 업체들은 필요한 태양전지를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태양전지 제조업체인 실트론도 월 1만셀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에너지 변환효율이 19%에 달하는 고성능 제품을 개발해 놓고도 시장성 문제로 양산에 나서지 않고 있고 최근 에너지 변환효율이 8.5%에 달하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유공도 이번에 개발한 제품을 당초 계획대로 내년중에 양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업계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정부 주도의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 연간 수요가 급에 달하는 데 반해 우리는 정부의 태양전지 발주물량은 연간 10억원 정도에 불과, 홍보차원의 보급사업에 그치고 있는 데다 민간수요도 아직은 특수목적에 한정돼 있어 제품을 개발해 놓고도 상품화는 생각지도 못하는 실정』이라며 『태양전지가 아직은 가격경쟁력이 없어 자유경쟁을 통한 수요창출이 어려운 만큼 정부에서 이에 대한 국내 기술발전과 보급확대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 LG산전, 대명산업 등 국내 태양광 발전시스템 업체들이 보급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총 4백50 정도에 불과하며 이에 사용된 태양전지도 약 30만셀(22억5천만원)에 그쳐 이처럼 미미한 시장을 보고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양산라인을 구축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태양전지 관련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에너지기술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태양전지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업체들도 준비는 돼 있다고 밝히고 있는 데도 이처럼 태양전지 보급 및 업체들의 활동이 부진한 것은 정부와 업체들간 손발이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태양전지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보급촉진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는 한편 업체들도 정부에서 시장을 열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 등 시장을 확대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