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현재 가전업체가 수행하고 있는 폐가전제품의 재활용도를 높여 나가기로 했다.
환경부는 26일 이를 위해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해 전국 가전, 가구재활용협의회, 자원재생공사 등의 중고 가전제품 재활용 처리능력과 재활용률 조사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최근 폐가전품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전국 가전, 가구재활용협의회(회장 박홍규)의 「가전제품 제조업체 대리점을 통한 폐가전품의 수거 및 파쇄처리에 대한 우리의 견해」라는 공문을 접수하고 폐가전품의 재활용이 가전업체의 단순 회수처리에 못지않게 상당히 중요하다고 인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가전제품 생산업체가 일부 제품의 생산량에 따라 부담금을 환경부에 내는 대신 폐가전품을 대리점 등 유통점을 통해 부분적으로 수거해 회수한 만큼 부담금을 돌려받는 방식으로 처리하면서 폐가전제품의 재활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전국 가전, 가구재활용협의회는 환경부 제출공문을 통해 가전업체들이 신제품의 판매증대를 위해 회수한 제품을 수리, 수선 없이 분해, 파쇄처리함으로써 재활용률이 낮아져 경제적 손실이 적지 않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환경오염이 염려되고 있다며 가전업체와 재활용업체, 환경당국 등이 서로 협조해 폐가전제품의 재활용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연간 2백만대의 폐가전제품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에 10∼15%는 수리 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제품이며 간단한 수리가 가능한 제품 40%를 포함해 수리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80% 정도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실제 재활용협의회는 지난 96년에 TV,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등 가전제품을 모두 11만4천8백22대를 수거해 이 중 7만9천1백14대를 재활용하고 2만5천2백98대를 폐기처리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재활용협의회의 70%에 육박하는 폐가전제품의 재활용률을 고려해 현재 가전업체들이 대리점을 통해 회수해 전량 폐기처리하는 방법 대신 폐가전 재활용 증진차원에서 개선방안을 확정발표키로 하고 6,7월중에 가전업체, 재활용업체, 관계기관들 간의 토론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한 가전업체의 한 관계자는 『폐가전제품의 재활용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폐가전제품의 회수, 처리에만 나설 경우 품질보장이 어려울 뿐 아니라 애프터서비스의 문제점이 발생해 오히려 생산원가를 높일 수 있다』며 『현재 가전3사가 막대한 비용을 투입, 폐가전 처리를 위한 전국 규모의 리사이클링센터 설립이 구체화하고 있어 세탁기, 냉장고 등의 소재를 90% 이상 재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원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