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전국 서비스시대 맞은 케이블TV (5);부가통신서비스

이번에 새로 허가된 전국 23개 2차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국(SO)사업자들은 사업계획서에서 향후 중점추진사업 분야로 부가통신서비스를 명기하고 있다.여기에는 케이블TV전화를 비롯 고속데이터서비스,방범방재,원격교육,화상전화,원격검침,홈쇼핑,VOD(주문형비디오)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이들 SO 대부분은 지배주주의 주력 업종에 관계없이 신규사업분야로 정보통신분야 진출,향후 도래할 초고속정보통신망 기반사업자로서의 입지확보를 위해 부가통신서비스에 대단한 의욕을불태우고 있다.SO의 고유업무인 케이블TV 프로그램의 분배가 오히려 위축될 정도이다.

그러나 이들 SO의 부가통신서비스 추진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태다.이번에 허가된 23개 SO의 대부분의 업체가 정보통신분야에 생소한 기업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은 비관적인 결론으로 이어진다.

23개 SO가운데 현재 정보통신분야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있는 그룹및 기업체는 삼보컴퓨터,새한등 2곳에 그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대비해 기업의 시너지효과를 노리고 이번 2차 SO사업에 의욕적으로 참여했던 대부분의 정보통신 관련업체들이 대거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일부 전자업체들이 2차 SO사업 진입에 성공했으나 대부분이 가전산업이나 부품산업성격의 기업체들이다.나머지는 도시가스,제지,무역,제약,건설등을 주력으로 하는 업체들이다.

문제는 비정보통신 기업일수록 정보통신의 고유업무 속성을 모르기 대문에 상당한 시행착오를겪을 것이라는 점이다.정보통신서비스는 대규모 초기투자를 필요로 하는 데 반해 투자회수기간이 길고 리스크부담도 일반제조업종 이상이라는 게 정설이다.

그럼에도 제조업종에 속해 있던 기업들이 오랜기간에 걸쳐 자금을 회수하는 정보통신서비스를위해 막대한 초기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인가는 의문이다.특히 부가통신서비스에 대한 가입자들의 기대욕구가 떨어지는 도농복합구역에서는 이같은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허가된 23개 SO의 부가통신서비스에 대한 의지는 별도로 하고 케이블TV망을 중심으로한 주변여건도 아직 성숙돼있지 않다.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 추진을 위해서는 NO(전송망사업자),SO,부가통신사업자,장비업체,그리고 가입자가 「오위일체」를 이뤄내야 한다.SO나 가입자가 아무리 부가통신서비스를 원할지라도 NO나 장비업체들의 기술적 뒷받침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부가통신서비스는 공허한 외침일 뿐이다.

그러나 현재 NO지정을 추진하고있는 기업들 가운데 부가통신서비스를 시험하고 있는 곳은 유선망을 제안할 한국통신과 한국전력뿐이다.이들은 특정구역에서 시험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한국통신은 디지털광케이블TV(SWAN-2)를,한국전력은 HFC(Hybrid Fiber Coaxial)를 바탕으로 시험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실험실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한국통신과 한국전력은 부가서비스의 상용화를 공언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이들이 제안하는 시스템 모두 상용화를 전제로 하기까지에는 상당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특히 한국전력이 제안하는 부가통신서비스는 장비국산화를 통한 원가절감과 기술지원이라는 양대과제를 빠른시일내에 해결해야 하는 처지다.

무선접속방식에서는 더욱 심각해진다.LMDS(지역간분배서비스)나 MMDS(다채널다지점분배서비스)는 케이블TV프로그램의 분배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부가통신서비스 실현을 위한양방향성 구현이나 장비개발은 아직까진 요원한 상태다.

이같은 SO자체의 역량부족,주변여건의 미성숙등을 전제로 할때 우리나라의 케이블TV 부가통신서비스는 2000년경에나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러나 이 시기는 기간통신사업자들이 막대한 자금력과 기술력으로 영상산업진출을 추진하는 때이다.따라서 SO들로서는 기간통신사업자들과 경쟁하기 위해 2000년까지는 기반기술확보 및 투자자금마련,특히 가입자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조시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