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 지역정보화

7월로 지방자치제 시행 두돌을 맞았다. 그동안 시행착오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는 후한 점수를 줄 만하다.

그러나 한국적 민주주의 토양에 어렵게 이식된 지자제가 활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정보화가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광범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정보화의 혜택은 지방행정서비스의 향상, 지방의 사회문화적 여건의 개선과 생활편의성 제고, 지역경제의 발전 등과 같이 실질적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산업사회에서 훼손된 지역사회의 공동체 원리를 정보화를 통해 복원시켜야 하는 것은 우리의 정보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책무다. 정보선진국이 되려면 한 분야나 일부 지역의 정보화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중앙의 정보화 바람이 지방으로 확산되지 않는 한 21세기 전자정부를 구현하겠다는 행정정보화전략은 한낱 사상누각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지방의 정보화는 한나라의 정보화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세계화에 못지않은 중요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지역정보화가 완벽하게 이룩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이고 지역간 균형발전이 가능하고 결국은 정보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의 정보화 추진기반은 물론이고 역량도 아직 미흡한 형편이다. 따라서 정부는 먼저 지역정보화를 제대로 추진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제도를 보완해 체계적으로 지역정보화를 지원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제는 지방자치단체들도 자체적으로 재원을 확보해 지역실정에 맞게 생활정보화를 추진하고 정보화 확산운동에 매진해야 한다. 지역정보화가 지방화시대를 성공적으로 여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지역정보화는 「정보복지」 개념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지역과 계층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우리 고유의 문화를 보편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해 내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다행히 광역자치단체들이 지역산업정보시스템, 민원정보시스템, 관광정보시스템 등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정보화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어 고무적이다. 이같은 지역정보화 열기가 기초단체에까지 확산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