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보건복지부 산하 모기관이 실시한 공무원 채용시험에 국내외 고급인력이 쇄도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7,8명의 식품의약품안전본부 연구관(5급) 모집에 국내외 박사학위 소지자 1백34명이 지원, 17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니 화제가 될 법도 하다.
더욱이 응시자 가운데 35%가 하버드대, 스탠퍼드대, 파리대 등 세계 유명대학 박사학위 소지자였으며 이들 중에는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미국 하버드병원연구소, 메이어병원 등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기관이나 삼성, 현대, LG 등 국내 민간 대형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인력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었다고 하니 화제가 될 만도 하다.
정부는 한국통신을 비롯하여 한국중공업, 담배인삼공사, 가스공사 등 4대 공기업의 사장을 오는 11월 말 사외공모를 통해 선임할 계획이라고 한다. 공기업 경영구조 개선 및 민영화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오는 10월 1일부터 시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부도유예 조치로 괌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기아그룹이 올 연말까지 9천명에 육박하는 임직원을 감원키로 하는 등 상당수 기업들이 감량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올해 공기업의 신규인력 채용도 지난해보다도 줄어들 것이라고 하는데 앞으로 대량실업 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는 시점이다. 공채에 고급인력들의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고 하겠다.
그런데 최근 정부가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기관장에 대해서도 공모를 통해 선임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들린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가 21세기 국가과제중 과학기술 및 산업기술혁신 촉진방안 일환으로 제시한 이같은 연구기관장 공모 선임방안을 재정경제원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오는 9월중 관계부처 합동회의에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 이르면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선 연구기관에서는 이같은 연구기관장 공모계획에 대해 현실을 모르는 탁상행정이라며 반발할 기세다. 그들은 연구기관의 생산성 제고 및 책임운영체제를 유도해 나간다는 명분 아래 이같은 방안을 제시한 모양인데 단순히 고급인력이라면 몰라도 기관장을 외부에서 공모 선임한다는 것은 결국 기관장의 모든 권한을 쥐고 있는 정부가 책임만 묻겠다는 발상이 아니겠느냐며 펄쩍 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