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최근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의 개선안을 발표했다. 소프트웨어멤버십 대상인력을 현재의 1백42명에서 국내 5백명과 러시아, 중국, 인도, 이스라엘 등 해외 1백명 등 6백명선으로 확대하는 것이 이번 개선안의 주된 내용이다.
삼성전자가 이같은 획기적인 소프트웨어인력 확대방안을 내놓게 된 배경은 지금과 같은 인력양성체제로는 소프트웨어사업을 제대로 육성할 수 없다는 절박한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올초 삼성전자의 사령탑으로 취임하자마자 소프트웨어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한 윤종용 사장은 미국 경쟁업체들을 돌아보면서 소프트웨어분야의 인력양성을 절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사장은 지난 5월경 미국 방문길에 찾아간 전자업체들로부터 『전체 인력중에 차지한 소프트웨어부문 인력비율이 90%에 달하고 있다』는 브리핑을 받고 상당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윤 사장은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인력 구성비율이 현재 20∼30%에 불과해, 이같은 상황에선 미국업체들을 쫓아갈 수 없다고 판단, 소프트웨어인력 양성에 우선순위를 두고 대책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의 전략부문을 맡고 있는 송용노 대표이사 부사장도 여러 차례 소프트웨어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상태. 송 대표는 제로베이스에서 회사의 사업방향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전자의 사업방향을 통신과 소프트웨어에 두면서 앞으로 소프트웨어사업이 전자를 먹여 살려 나가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같은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삼성전자는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소프트웨어의 인력양성을 선정했으며 실무팀은 소프트웨어 멤버십제도에 눈을 돌리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의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를 활성화, 소프트웨어사업의 기반인 인력을 적극 양성하자는 것이다.
여기에는 기존의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도 크게 작용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관리스타일의 조직분위기로 인해 「튀는 사람들」의 행위를 이해하지 못하고 면접에서 탈락시킴으로써 소프트웨어인력을 제대로 선발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소프트웨어멤버십 자체가 「친목」성격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충원되는 케이스가 극히 적었다. 또한 병역문제 등의 해결이 어려워 소프트웨어멤버십의 인력중에 절반이상이 입사하기보다는 다른 일을 찾아 떠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개선안은 인력선발부터 지원부문 등에 이르기까지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가 안고 있던 모든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담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를 완전히 바꾸어 인력양성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삼성전자의 취지가 먹힐 수 있을는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소프트웨어 멤버십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지원을 받은 소프트웨어멤버십의 인력들이 대부분 학생들이어서 △회사의 기존인력들과 융합하기가 어려울 뿐아니라 △아르바이트라는 인식을 갖고 있어 회사가 요구하는 업무들을 능동적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소프트웨어멤버십에 지원할 자금이 있으면, 기존 사업에 지원할 경우 그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의견이 공공연하게 터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멤버십 제도의 개선안을 내놓았다고 해서 지금 당장 소프트웨어인력이 양성될 것으로 보는 사람은 없다.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사업이 고질적인 중병을 안고 있어 한 두가지의 대책으로 좋아질 것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고위층이 아무리 소프트웨어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더라도 지금과 같은 조직에선 먹혀들 수 없다』며 『이번 제도개선을 계기로 양성된 인력을 제대로 엮어 나가려는 분위기와 조직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삼성전자 관계자의 지적이 설득력 있게 와닿고 있다.
<원철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