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을 이용해 악취성분인 암모니아나 유황화산화물등 대기중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유해가스 제거섬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응용연구팀 노영창박사팀이 2년여의 연구기간을 거쳐 최근 개발한 유해가스제거섬유는 일반 섬유의 표면에 약 20∼50k그레이(Gy)의 방사선을 조사시킨 후 화학적 방법으로 섬유의 성질을 바꿔 대기중의 유해가스를 흡수하는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반도체 청정실의 정화기 소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유독가스제거에 사용되어온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등에 비해 유독가스 흡수력이 2∼7배이상 높고 사용후 섬유를 재생처리해 재사용해도 성능이 그대로 유지되는 등 내구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부직포,직물등 섬유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이들 재료에 냄새제거,유독가스제거기능을 채택해 고기능 유해가스흡수기능을 갖고 있다.
원자력연구소 노영창 박사는 『이 섬유가 반도체 청정실의 정화기 필터,냉장고 악취제거,극장,차량,사무실등의 냄새제거등에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상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