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구제금융 협상에서 외국인 주식취득 한도를 50%로 확대키로 하면서 사업성이 유망한 전자 · 정보통신 관련주가 M&A 재료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업종을 대표하면서 재무구조가 우량한 반면 자본규모가 작은 중소 부품업체주가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대덕전자, 한국단자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 대덕전자와 한국단자는 각각 PCB와 커넥터분야의 대표적인 업체일뿐 아니라 부채비율이 각각 80.3%, 40.6%일 정도로 재무구조가 튼튼해 해외자본의 M&A 표적으로 지목받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양사는 지난달 27일부터 이 달 4일까지 1주일간 각각 7.8%, 7.1%의 주가상승률을 보이면서 전기전자업종 중에서도 상승률 상위를 마크했다.
이밖에도 고니정밀, 대덕산업, 코리아써키트, 한국코아, 우진전자, 경인전자, 성문전자, 삼화콘덴서, 신성기업 등 대부분의 부품업체들도 외국인의 M&A 표적에서 예외는 아닐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업체들은 몇 안되는 부품업계의 상장사이기 때문에 대부분 대표업종주의 성격을 띠고 있고 자본규모가 작기 때문에 굳이 M&A를 노리지 않더라도 주식매집을 통한 차익을 노릴 수 있는 종목이기 때문이다. 이 업체들 중 상당수는 그동안에도 자주 M&A설이 제기돼 주가등락을 심하게 겪어 경영에 애로가 되기도 했다.
중소 부품 상장사들은 국내 전자산업의 기초를 이루고 있고 국제경쟁력의 근간이 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의 주식취득에 의해 인수나 합병이 되든 아니면 M&A설로 혼란을 겪든 국내 전자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이들은 그러나 대부분 대주주 지분율이 높고 우리사주 등 우호적인 주주들을 많이 확보하고 있어 외국인이 주식취득을 통해 쉽게 목적을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덕전자는 대주주 지분(27.3%)과 우리사주조합(4%), 임원주(9%)를 합치면 방어적 지분율이 40.3%에 이르고 이미 취득한 7만주의 자사주와 지난 10월 공시된 5만주의 자사주를 취득할 경우 5%의 지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대덕전자는 M&A에 대비, 조만간 또 한번의 자사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대주주 지분율이 8.2%에 불과한 한국코아의 경우에도 지난 3월 1백50억원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했고 지난 95년에 발행한 전환사채도 보유하고 있어 이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대주주와 법인보유 지분율이 33%를 웃돌 수 있다고 밝혔다. 코리아써키트도 지난 3월 24만3천주에 해당하는 BW를 발행, 이를 주식으로 전환해 대주주 지분율을 현재 22.2%에서 30% 이상으로 끌어올릴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중소 부품 상장사들의 경우 자금규모가 작아 실제 M&A 가능성이 적다 하더라도 시세차익을 노린 매집이 성행해 경영에 혼란을 겪을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는 것이 대부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와 관련, 한국M&A학회 등 M&A 관계자들은 『중소 부품업체들이 경영권 방어나 주식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자금부담이 큰 BW나 전환사채 발행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정관개정 등 보다 다양한 방어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