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산업 체계적 유통체계 구축 시급

국내 게임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유통체계 구축과 업체의 전문성 제고, 업체들간 협력체제 마련 등 기반 구축을 서둘러야 하며 게임시장의 대형화를 유도하기 위한 테마파크의 조성과 게임산업종합기술지원센터 설립, 개발자금지원 등을 통한 게임관련 전문기술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문화체육부의 용역의뢰를 받아 동국대 경제경영연구원 이종옥 책임연구원 등이 최근 작성한 「국내게임 유통 실태분석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게임산업의 유통체계는 경로 구성원의 형태 및 특성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며 건전한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위 총판으로 불리는 도매상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이중가격 형성 등 가격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고 있으며 최종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매점의 기반이 열악, 수요창출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시장규모가 작고 공식적인 교육기관이 전무해 전문성과 인력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게임산업 경쟁력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게임 개발사 및 제작사들이 확보하고 있는 전문인력은 5명이하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연간 매출규모도 1억원 이하의 업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개발사와 도매상간의 수평적 협력체제와 개발사와 제작사, 도매상과 소매상간의 수직적 협력관계도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무단복제가 실질 수요를 크게 잠식하는 요인으로 작용, 게임 산업 발전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따라서 불법소프웨어의 지속적인 단속과 게임시장의 대형화를 유도하기 위한 테마파크의 조성, 게임산업종합기술지원센터 및 개발자금지원 등을 통해 게임관련 전문기술 확보 등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인력양성기관의 설립과 전문인력에 대한 병역특례 등의 정책적 지원을 펼쳐야 하며 수출지원 및 복법복제 등에 대한 계도노력을 통해 수요 창출에 힘써야 한다고 이 보고서는 주장했다.

이 보고서는 이밖에 게임산업 육성을 위한 민간부문 개선방안으로 △소비자 직판 및 소매상기반조성 △소비자 가격인하 및 정찰제 실시등 마케팅활동 강화 △무자료 및 덤핑 거래 개선등 공정거래 관행 정착 △대기업 중심의 개발력 강화 △라이센스 확보를 위한 업체들간 과당경쟁 자제등을 꼽았으며 정책적 개선방안으로는 △규제완화 및 통폐합 △심의제도 개선 △민간협회의 통폐합 등을 꼽았다.

<모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