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각부처가 관련분야 기초 및 응용연구를 위해 추진중인 연구기금사업이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산, 학, 연 공동연구과제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한국과학재단 및 정보통신연구관리단 등 관련기관에 따르면 과기처의 기초과학분야 연구지원사업, 교육부의 대학내 연구개발지원사업,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관련 연구개발 지원사업 및 융자사업 등 현재 정부부처별로 실시되고 있는 연구기금사업이 대부분 대학, 연구소, 기업별 개별연구과제를 지원해 연구개발 성과물이 상품화하지 못하고 사장되는가 하면 기금관리에도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연구기금사업을 벌이고 있는 정부 관계자들은 대학, 연구소, 기업에 대해 개별적으로 연구기금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대상에 대한 연구과제 선정, 중간평가, 최종평가 등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학, 연구소에서 개발된 각종 성과물들이 기업의 현 기술수준과 시장환경에 맞지 않아 상품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기업들의 경우 정부기관으로부터 받은 연구기금을 연구개발 이외의 목적에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해 이들 기금을 관리하는 단체들이 진땀을 빼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보통신연구관리단 최칠성 중소기업지원센터장은 『현재 대학, 연구소, 기업에서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과제를 산, 학, 연 공동연구과제로 대폭 변경해 대학 교수, 출연연, 민간기업 공동으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이러한 연구풍토는 기금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러한 제도가 정착될 경우 『대학 교수와 연구원은 자신의 역할에 맞는 기술개발 및 지원, 과제 수행에 대한 관리기능을 담당하며 기업체는 개발된 기술에 대한 상품화 기술개발을 담당하게 돼 연구체제의 분업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상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