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의 개인휴대통신(PCS) 특감은 큰 적발사항이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6일 감사원의 한 관계자는 『조사가 이 상태에서 끝난다면 작년 4월 정통부 일반감사에서 PCS 부분을 주의 2건으로 마무리한 것에서 크게 진전된 것이 없으며 담당공무원들의 징계 여부도 불투명할 정도』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 한승헌 감사원장 서리는 『PCS 특감은 생각보다 대단한 의혹이 밝혀진 게 없으며 대어를 낚을 가능성도 적어 보인다』고 말해 새 정부 출범에 앞서 세인을 놀라게 했던 PCS의혹은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 현재 하와이에 체류중인 이석채 전 정보통신부 장관도 감사원의 서면질의에 대해 『정치적인 압력이 없었고 사업자 선정도 독자적 소신에 의해서 했다』고 분명히 밝힌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이 전 장관은 또 사업자 선정방식이 추첨제에서 점수제로 변경된 것은 추첨제의 문제점이 많았기 때문이며 서류심사의 점수 순위를 뒤바꾼 청문심사 도입경위에 대해서는 『청문회제도는 실무자들이 작성한 허가심사 기본계획에 포함돼 있어 그대로 추진한 것이지 내가 지시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감사원의 관계자는 또 이 전 장관의 답변내용이 불투명하다고 판단, 귀국 후 문답조사에 응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이 전 장관이 이 요청을 재차 거부할 경우에 대비해 최근 보충질의서를 보내 17일까지 답변해 주도록 요청해 놓고 있다고 밝혀 PCS국감은 아직 끝난 것이 아님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문민정부의 이권사업으로 각종 특혜설이 끊이지 않았던 PCS 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의혹은 분명히 밝혀져야 한다. 그러나 질질 끌 수는 없다. 이들 통신사업자 관련, 현안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초 대통령직인수위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이번 감사원 특감의 대상에는 PCS외에 시티폰(CT2), 주파수공용통신(TRS), 무선데이터, 무선호출(삐삐), 국제전화, 회선임대 등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도, 관심을 집중시킨 바 있는데 이에 대한 특감도 조기에 매듭짖고 관련산업계가 정상적인 기업경영에 몰두하도록 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