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공급분부터 새롭게 적용하고 있는 대기업의 환율기준이 최근의 환율(1천3백원대)에도 크게 못미칠 정도로 여전히 낮아 재조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이 2월 공급분부터 전월평균환율제를 도입, 매월 재조정키로하고 기준환율을 1천2백원선으로 조정하기는 했으나 인상분 자체가 원자재가격 상승분에 불과할 뿐 환율변동치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더구나 아직 상당수의 대기업이 8백∼9백원대에 결정된 가격으로 부품대금을 결제하고 추가분에 대한 지급을 계속 미루고 있어 그동안 환율이 안정되면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 환차손을 감수하면서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을 모두 끌어모아 생산활동을 지속해온 중소 부품업체들의 불만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S사의 경우 지난해 12월에서 1월사이에 공급한 물량에 대해 달러당 8백원을 기준으로 결제해줬다가 정산해보니 남는다며 지난달에 일정분을 더 지급했으나 D사의 경우는 추가 지불액이 수천억원에 달하자 내부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해 아직까지 지불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관련 부품업계에서는 『대기업에서 책정한 환율기준조차 달러로 결제해온 부품단가를 환율이 오르기 이전의 원화로 환산, 가격을 대폭 낮춘 상황에서 적용한 것이라 달러기준으로는 최대 40%까지 인하된 것이며 이로 인한 말썽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부품업체들로부터 「단가합의서」를 받아 내는 등의 편법을 동원하고 있으면서도 이처럼 추가 결제를 미루고 있어 중소부품업체들의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기업들은 환율급등으로 수출조건이 호전된 것을 사실이나 수출가격을 낮추고 있어 환율변동 시세를 부품가격에 그대로 반영해줄 수는 없으며 이번 가격조정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보전해줬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부품업계에서는 『이같은 단가조정으로는 환율상승에 따른 인건비 및 물류비용 등의 관리비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할 길이 없으므로 최소한 손해를 보지 않는 선의 추가 인상이 시급하다』며 고 요구하고 있다.
<김순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