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산업 관련 국제 환경, 안전회의의 국내 개최를 계기로 최근 새로운 통상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반도체산업의 환경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PFC) 가스가 지구온난화 규제대상 물질로 추가되면서 향후 규제가 강화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국내 반도체업계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회장 문정환)는 SIA(미국), EIAJ(일본), EECA(유럽), TSIA(대만) 등 각국의 반도체 단체와 세계 반도체장비 및 재료협회(SEMI) 후원으로 반도체산업 관련 환경문제와 작업자들의 안전문제 등을 논의하는 제5차 반도체 산업관련 국제 환경, 안전회의를 25일부터 사흘간 경주 현대호텔에서 개최한다.
국내외 반도체 관련 전문가 1백80여명이 참가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반도체 에칭 및 증착(CVD)공정에서 발생되는 PFC 가스 방출 억제를 중심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안전문제에 대해 정보를 교환할 예정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한 지구 환경파괴 문제가 반도체업계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는 등 이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후협약에서 PFC를 지구온난화 규제대상 물질에 포함시키기로 각국이 합의함에 따라 세계 반도체업체들은 정부 및 관련단체와 협조체제를 구축해 대체물질 개발과 사용량 저감, 재활용 및 사후처리 기술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미국, 일본 등 반도체 분야의 선진국들은 환경 관련 기술개발이 향후 반도체업종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판단아래 환경기술 개발에 매년 1천억달러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반도체 관련 장비 및 측정장비 기술이 크게 뒤떨어져 있어 방출량의 측정이나 대체물질, 재활용 등 원천기술 개발에는 손도 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반도체산업 분야에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될 경우 이는 국내 반도체업체의 막대한 추가 시설투자 부담으로 이어져 최근 가격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최승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