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포럼] "정보화 인증제도"를 생각한다

柳光源 삼성SDS 이사

현재 우리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첨단 정보통신사회에서 살고 있다. 또 지금 세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하나의 열린 사회로 향해 가고 있으며 정보의 창출과 유통이 생활의 기반이 되는 지식중심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사회는 각 개인에게 정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종합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느냐는 「정보처리기술」과 자신 혹은 고객의 필요에 맞게 어떤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느냐는 「정보처리능력」을 요구한다.

컴퓨터 및 통신기술을 이용한 정보화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면서 정보처리기술이 개인 및 조직 경쟁력의 중요한 요인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정보사회에서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정보홍수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수집, 분류해 자신의 목적에 맞도록 가공, 활용하는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는 기본적인 능력도 필요하게 됐었다.

따라서 정보시대가 요구하는 인적 자원을 양성할 수 있는 정책과 교육 그리고 그에 따른 체계적이고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는 지표의 마련이 필요하며, 각 개인의 정보처리능력을 측정하는 것도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개인이 능력을 얼마나 지니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증명해 줄 수 있는 인증제도가 있다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필요한 인력 채용 및 양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국가자격을 통해 많은 인력을 배출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급변하는 21세기를 맞아 이제는 각 개인이 기술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뒷받침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시급하다는 내용이다. 특히 전세계적인 기술동향과 산업현장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 포괄적이고도 유연성 있는 제도를 운영해야 다양하고도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하고, 개인적으로 혹은 국가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자격과 좀더 차별된 자격제도가 활성화돼야 한다. 또 정부 주도보다는 민간단체 및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기술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정보시대에 적합한 능력 있는 인적 자원을 선발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인증제도가 정착된다면 개인은 학벌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좋은 계기도 될 것이다. 또 개인적으로 다양하고 품질 높은 프로그램을 선택해 자신에게 필요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를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정보시대에 적합한 인적 자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지표를 제공해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인재 양성의 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정보화 교육에 대한 정책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산업체는 그들 나름대로 근로자의 객관적인 능력평가로 선발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인사관리의 공평성 및 편리성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재직 근로자의 체계적인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 및 기업 인력의 전반적인 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직업교육 훈련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직업능력의 질 향상을 통한 국가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교육 훈련의 활성화와 경쟁체제를 통해 직업능력의 질을 향상해야 하고 정보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실질적으로 측정해야 하며 「무엇을 아느냐」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춰 지식과 기술이 통합된 실제적인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도록 해야 한다.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정보화능력의 자료를 확보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학교 정보화 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체계를 수립해 정보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체제를 제공해 국민들이 정보처리능력을 배양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증기관에서는 단순한 평가뿐만 아니라 국민에게 좀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정보화를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기본적인 정보소양 함양 및 정보사회에 적합한 윤리의식 여부와 더불어 개인 스스로가 정보를 찾고 평가하며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능력을 평가해 단순 컴퓨터 및 다른 정보기기, 정보기술 활용의 숙달정도를 평가하는 수준을 벗어나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성이나 신뢰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신뢰성 있는 주관기관의 선정이 불가피하며 평가의 내용이 직접 생활에 활용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것으로 개발돼야 한다. 실기시험을 위한 충분한 시설 및 전문관리 인력,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인증기준의 정립 및 문제개발, 평가실시, 채점, 성적처리에 이르는 공정한 절차 등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새로운 차원의 민간자격이 활성화하고 정착되려면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각 영역에 관한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될 수 있도록 각급 교육기관, 연구단체, 산업체 간의 충분한 의견수렴과 조율이 필요하며 단순한 평가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정보화를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 국민이 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