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센터 성과 미흡하다

정부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이 벤처기업 지원 및 육성을 위해 설립한 기술혁신센터, 창업지원센터가 현재 60여개에 이르고 있으나 이들 센터에 대한 지원책이 미흡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기술창업지원단(단장 김호기 재료공학과 교수) 주최로 10일 KAIST 대강당에서 열린 「21세기를 향한 과학산업단지와 벤처기업의 성공전략에 관한 국제 워크숍」에서 배종태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창업보육센터의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창업지원센터는 현재 28개가 운영중인 것을 비롯, 30여개가 설립을 준비중이나 대부분 설립 2년 미만의 짧은 역사와 활동부족으로 장소 및 시설지원에 그치고 있으며 기술, 경영, 정보지원활동이 매우 미약하다』고 밝혔다.

배 교수는 또 전주, 원주, 충남창업지원센터 등 대부분의 지원센터에 입주해 있는 기업들의 수가 20여개 미만이어서 전문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할 수 없는 등 경영전문가나 기술전문가를 채용해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SW지원센터 등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내 창업지원센터의 경우에는 지역내 특수성을 감안한 특화산업을 육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이끌어내기가 어려워 활동에 큰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교수는 이에 따라 국내 창업보육센터의 경우 벤처기업의 창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을 바탕으로 성공가능성이 높은 벤처기업을 우선 선정해야 하며 입주시 지원은 물론 졸업 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유망창업자를 입주시키기 위한 정책마련을 통해 기업들의 입주를 활성화하며 신제품 개발이 완료된 기업에 대해서는 제품 판로를 확보해주는 실질적인 육성방안을 제시해야만 창업지원센터가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벤처기업의 본산인 미국의 경우에는 80년대 50개 미만이던 창업보육센터가 98년 6월말 현재 6백개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최근 대도시보다는 농촌, 소도시 중심으로 설립됐음에도 불구하고 입주업체수는 20여개로 우리보다 많은 편이다.

<대전=김상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