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우울증 유발한다

 인터넷은 우울증과 고독감을 유발한다고 「뉴욕 타임스」지가 30일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는 카네기-멜런대학의 사회심리학 교수 로버트 크라우트 박사의 조사분석 보고서를 인용, 인터넷은 일주일에 단 몇 시간을 하더라도 우울증과 고독감을 심화시킨다고 전했다.

 크라우트 박사는 피츠버그에 있는 4개 대학교 학생들과 지역단체 회원 1백69명을 대상으로 1년 또는 2년에 걸쳐 집에서의 인터넷 사용이 미치는 심리적인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결과 심리적인 행복감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크라우트 박사는 자신도 이 결과에 놀랐다고 말하고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결과는 극단적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조사대상자들은 평범한 성인들이다. 만약 이들이 인터넷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람들이었다면 더욱 더 나쁜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크라우트 박사는 지적했다.

 크라우트 박사는 『일주일에 인터넷을 1시간 사용하는 경우 우울증 강도(최고 3)는 평균 1이 올라가고 사귀는 사람들의 수(평균66명)는 2.7명이 줄어들며 고독감 지수(최고 5)는 10분의 4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크라우트 박사는 또 『얼굴을 서로 마주보는 것이 아니라 전자우편을 통해 유지되는 사이버관계는 심리적인 안정감과 행복감의 형성에 필요한 상호의지와 따듯한 정을 주지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결과에 대해 이 조사분석을 시행한 사회과학자들뿐 아니라 이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한 애플컴퓨터, 인텔, 휴렛패커드 등 첨단기술회사들도 의외라면서 놀라움을 표시하고 있다.

 사회과학자들은 크라우트 박사의 이 조사분석 결과가 첨단기술이 가져다 주는 이익과 이에 관한 대중정책 수립을 둘러싸고 대규모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

다.

 크라우트 박사는 이 조사보고서를 금주중 미국 심리학회지인 「아메리칸 사이콜러지스트」에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