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빗장이 풀리면서 영화·만화비디오 등 일본 영상SW 판권료가 폭등하고 있다. 특히 일부 일본업체는 판권료 재협상 등 재계약을 요구, 말썽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일본 영화·비디오에 대한 수입허용 방침이 천명되면서 일본 영화·비디오의 판권료가 최대 4∼5배까지 치솟고 있다. 이에 따라 평균 10만달러에 불과했던 일본영화 판권이 최근에는 40만∼50만달러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매물이 없는 실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판권시장에 나와 있는 물량이 일본 쇼치구사의 「우나기」와 「라쇼몽」 등 2∼3편 정도에 불과할 뿐 모두 물밑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프로테이프 제작사인 S사의 한 관계자는 『「우나기」의 경우 연초 10만달러의 판권료로 얘기가 오갔으나 최근 그 쪽에서 약 40만달러를 요구해 와 판권을 구매하지 않았다』면서 『당장 개봉이 가능한 영화 외에는 일본쪽에서 아예 값을 매기지 않고 있더라』고 소개했다.
다른 영상업체 관계자도 『상업성이 있는 영화의 경우 최대 1백만달러의 판권료를 요구, 「없었던 일」로 했다』면서 『자칫하다가는 또 다시 그들의 「봉」이 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더욱 심각한 장르는 만화영화다. 정부가 4대 국제영화제 입선작 외에는 수입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뒷거래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극장용 애니메이션인 「원령공주」와 「이웃집 토토로」 등의 판권료는 연초에 비해 2∼3배가 껑충 뛴 40만∼50만달러를 형성하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문화개방 이전에 구매한 판권료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전문업체인 S사는 최근 일본의 협력회사가 판권료를 포함한 재협상을 요구해 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출시일정 지연 등 약속이행이 안됐다는 게 그들이 내세운 표면적인 이유였지만 속셈은 판권료를 더 올려달라는 것이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의 개방 프레임에 의해 허용될 일본영화들은 젊은이들의 감각과 맞지 않아 흥행가능성이 낮은 실정이지만 향후 협력관계를 고려,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수 없는 게 업계의 현실』이라면서 정부의 일본영화에 대한 판권료 가이드라인 제시 등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모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