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장권 전산망" 국감 도마위에

 문화관광부가 작년 3월부터 진행해온 전국 영화관·공연장·경기장의 「입장권 예·발매 통합전산망 구축사업」 및 올 9월부터 추진한 전국 1백여개 국·공영 문화기관에 대한 「현장매표 시범전산망 사업」 등을 취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국감에서 제기돼 주목된다.

 지난 23일 문화부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민간 서비스시장(입장권 예·발매업)에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자칫 부작용만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며 선진국에서도 사례가 없는 정부에 의한 사업추진을 즉각 취소해 민간이 자율적인 시장경쟁을 통해 기술발전 및 서비스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1년여간 입장권 통합전산망 사업을 주관해오던 문예진흥원이 지난 2월 △영화관 등 서비스 대상시설의 전산망 가입여건이 미비하고 △입장권 예·발매시장이 여러 민간업체들에 의해 이미 활성화돼 있으며 △입장권 판매라는 민간의 수익사업에 정부가 나서 통제한 사례가 없고 △민간업체간 컨소시엄 구성에도 장애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관련사업을 반려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부가 사업을 강행하는 이유를 따져 물었다.

 또한 『문화부가 관련사업을 정책에 입안한 시점(97년 3월 20일) 이전인 97년 1월 14일 지구촌문화정보서비스와 모 단체간 체결한 입장권 판매대행 계약서에 「문화부(당시 문체부)가 제안업체(지구촌문화정보)의 소프트웨어를 취득할 경우 수수료를 조정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는 특정업체와 문화부가 사전에 모종의 교감을 나누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문화부는 이에 대해 △낙후된 입장권 전산망 서비스 체계를 끌어올리고 △서비스의 표준방안(시스템) 마련 및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국가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이 의원에게 서면으로 전달하는 한편 지속적인 사업추진을 재확인했다.

 또한 내달 1일부터 4일까지 지구촌문화정보서비스·한국컴퓨터·한국정보통신 등 3사의 발권 및 전산시스템 현장실무능력테스트(BMT)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갖기로 확정했다.

<이은용 기자>